티베트 초대형 수력발전소 착공 힘입어 중국·홍콩 증시 8개월 만에 최고치

상하이—중국 본토 및 홍콩 증시가 티베트 초대형 수력발전소 착공 소식에 힘입어 동반 랠리를 지속하며 투자자들의 시선을 모았다.

2025년 7월 22일, 로이터(Reuters) 통신 보도에 따르면, 블루칩 지수 CSI300은 전장 대비 0.4% 상승하며 8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상하이 종합지수 역시 0.3% 오르며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홍콩 항셍지수(Hang Seng)는 장중 25,120포인트까지 올라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건설·전력 섹터가 시장을 주도했다. 중국 정부가 주말 사이 발표한 1,700억 달러(약 230조 원) 규모의 티베트 수력발전 댐 공사 착수 소식이 투자심리를 대폭 개선했다는 평가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력발전소”

로 불리며, 향후 수년간 관련 업종의 수주 모멘텀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종목별 움직임1·2도 두드러졌다. 상하이 시장에서 안후이콘치시멘트(Anhui Conch Cement)는 6% 넘게 급등했고, 중국전력건설(Power Construction Co. of China)은 상한가(10%)를 기록했다. 두 종목 모두 댐 건설의 핵심 수혜주로 거론된다.

노무라(Nomura) 증권팅루(Ting Lu)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강세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실물경제보다 정책 의지와 유동성에 더 주목한다”면서 “베이징 당국이 경기 균열을 통제할 능력이 있다는 자신감이 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미·중 갈등 완화, 장기 자금의 주식시장 유입, 그리고 제조업 신뢰 회복을 투자심리 회복의 세 가지 축으로 꼽았다. 다만 “만일 주가가 차익 실현 구간에 들어서면, 투자자들은 실물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더 부각할 수 있다”며 하반기 경기 둔화 가능성에 주의를 당부했다.


업종별 희비CSI 은행지수는 1.1% 하락한 반면, 헬스케어 지수는 1% 상승하며 방어주 강세를 재확인했다.

국제 정치 이벤트도 주목됐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전날 “가까운 시일 내 워싱턴과 베이징이 고위급 회담을 열고, 중국의 이란·러시아산 원유 구매 문제를 포함한 현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용어 설명CSI300은 상하이·선전 증시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다. 항셍지수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표 50개 기업으로 이뤄진 벤치마크다. 두 지수 모두 중국 경제 동향을 가늠하는 핵심 바로미터로 활용된다.

수력발전소란 물의 낙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대규모 댐 건설은 친환경 에너지원 확대와 지역 인프라 개선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는 점에서 중국 정부의 중·장기 성장 전략과 맞물려 있다.

전문가 견해—기자는 이번 랠리를 “정책 드라이브와 유동성 기대가 결합한 결과”로 판단한다. 다만 대형 프로젝트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실제로 나타나려면 공정률, 전력판매 단가, 지역 환경영향평가 등 다층적 변수가 남아 있다. 따라서 단기 순환매에 편승하기보다, 프로젝트 진행 속도와 자금 집행 실적을 면밀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홍콩 증시는 대형 인프라 모멘텀과 완화적 정책 기조를 바탕으로 상승 엔진을 달았으나, 하반기 경기·정책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도 상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