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AI 경쟁 촉진 위해 엔비디아 분할 검토했으나 보류… AI 산업 지원 3건 행정명령 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엔비디아(NVIDIA Corp.)를 분할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검토했으나 실현 가능성의 한계로 보류했다고 밝혔다. 대신 그는 인공지능(AI) 산업을 전방위로 지원하기 위한 90개 조항의 로드맵 일부를 담은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2025년 7월 23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AI 정상회의에서 “조금 쪼개 경쟁을 붙일까 생각했지만 그 업계는 쉽지 않더라”고 말하며 엔비디아 해체 구상을 직접 언급했다. 그는 동시에 “미국이 AI 분야에서 외국에 뒤처지는 일은 절대 허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90개 항목 로드맵과 3건 행정명령
트럼프 대통령은 90개 세부 과제를 담은 연방 규제 프레임워크를 공개하고, 그중 우선 실행이 가능한 3가지를 행정명령(E.O.)으로 즉각 발동했다. 해당 명령에는 연방 소유지를 AI 데이터센터 입지로 개방, 우방국 대상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수출 촉진, 연방정부 내 ‘정치 편향 AI’ 사용 금지 및 DEI 정책 제한이 포함됐다.

오늘부로 미국의 공식 정책은 AI 세계 1위 유지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자리에서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젠슨 황(Jensen Huang)을 향해 “당신은 엄청난 성과를 냈다”고 치하하기도 했다.

저작권·주(州) 규제 갈등
트럼프 대통령은 AI 학습 과정에서의 저작권 무단 사용 논란에 대해 “상식적 지적재산권 적용”을 언급하며 별다른 우려를 표하지 않았다. 이는 오픈AI 등 주요 AI 기업을 상대로 한 다수의 집단소송과 대조된다. 또한 그는 각 주(州)가 제각기 마련 중인 AI 규제안을 “연방 기준이 모두를 우선한다”고 일축, 단일한 전국 단일 규제 체계를 예고했다.

행정명령 세부 내용
첫 번째 명령은 연방 정부가 보유한 토지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부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에 따라 환경 영향평가 절차가 간소화돼 건설 기간 및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두 번째 명령은 동맹국에 대한 AI 칩·소프트웨어 수출 장벽을 낮춰 국제 공급망을 확대한다.
세 번째 명령은 연방 정부 시스템에서 ‘정치적 편향이 있는 AI’ 사용을 금지하면서 DEI 지침을 ‘신뢰성 저해 요소’로 규정했다.

배경 용어 설명
DEI는 다양성(Diversity)·형평성(Equity)·포용성(Inclusion)의 약자로, 조직 내 포괄적 문화 조성을 목표로 한 인사·정책 기조를 의미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AI의 객관성을 해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지목했다.
게이트드 어프로치(gated approach)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도입했던 방식으로, AI 모델·데이터의 해외 접근을 제한해 기술 유출을 방지하려는 정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전면 수정해 ‘개방적 수출 촉진’으로 방향을 튼 셈이다.

시장·산업 파급 효과에 대한 기자 분석
첫째, AI 데이터센터 입지 확대는 전력·부동산·통신 인프라 기업에 직·간접 수혜를 제공할 전망이다. 둘째, 수출 장벽 완화는 엔비디아, AMD, 인텔 등 AI 반도체 업체의 해외 매출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엔비디아 해체’를 보류함에 따라 중장기 지배력 공고화 가능성도 높아졌다. 셋째, DEI 제한과 ‘정치 편향 배제’ 방침은 AI 알고리즘 설계·검증 단계에서 새로운 컴플라이언스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의회 승인이 필요한 예산 편성 및 주 정부의 반발이 남아 있어 로드맵의 전면 시행까지는 상당한 협상 과정이 불가피하다. 또한 환경 규제 완화가 장기적으로 탄소배출 목표와 충돌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3건 행정명령은 “AI 패권 수성”을 위해 규제·수출·인프라를 동시에 다루는 복합 전략으로 평가된다. 향후 미국 내 AI 산업 구조와 글로벌 기술질서에 어떤 파급이 나타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