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모펀드·암호화폐·부동산과 같은 대체자산(alternative assets)을 401(k) 퇴직연금에 편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행정명령에 8월 7일(현지시간) 서명할 예정이다.
2025년 8월 7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오 백악관에서 서명식을 갖고, 미 노동부 장관에게 사모시장 투자에 관한 수탁자(fiduciary) 지침을 검토하도록 공식 지시한다. 해당 지침은 1974년 제정된 고용 은퇴소득 보장법(ERISA) 아래에서 401(k) 등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이 따라야 할 최소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번 행정명령은 블룸버그 통신이 가장 먼저 보도했으며, 대체자산 업계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확정기여형 연금에 사모자산 편입을 확대하기 위해 로비해 온 노력이 결실을 맺는 순간으로 평가된다.
시장 반응도 즉각 나타났다. 비트코인(BTC) 가격은 소식이 전해진 직후 급등했으며, 사모펀드 대장주로 꼽히는 Apollo Global Management 주가도 장 초반 소폭 상승했다.
사실상 401(k) 계좌 내 사모시장 투자 허용은 2020년, 1기 트럼프 행정부 시절 노동부가 정보서한(info letter)을 통해 ‘특정 조건’ 하에서 가능하다고 명시하면서 처음 길이 열렸다. 이후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해당 지침이 재확인되며 법적 기반이 유지돼 왔다.
현재 미국인들이 401(k)에 적립해 둔 자산 규모는 2025년 1분기 말 기준 $8.7조(약 1경 1,500조 원)에 달한다—투자회사협회(ICI)
대체자산 포트폴리오 편입이 제도적으로 열리자, 자산운용사와 플랜스폰서(plan sponsor)들은 잇달아 관련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은 2026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타깃데이트펀드(Target Date Fund)에 5%에서 20%까지 사모자산을 편입하겠다고 6월 발표했다.
이어 5월에는 미국 2위 퇴직연금 운용사 엠파워(Empower)가 Apollo 등과 손잡고 일부 계좌에서 사모자산 투자를 허용하겠다고 밝혀, 퇴직연금 시장의 지형 변화를 예고한 바 있다.
용어 설명
401(k)는 미국 직장인이 세전(稅前) 소득의 일정 부분을 적립해 노후자금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이다. 기존에는 주식·채권·뮤추얼펀드 등 전통자산 위주로 구성됐지만, 사모펀드·헤지펀드·실물부동산·암호화폐 등 유동성이 낮고 위험도가 높은 자산은 편입이 제한돼 왔다.
사모펀드(Private Equity)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투자한 뒤, 지분을 일정 기간 보유하고 매각하며 수익을 추구하는 폐쇄형 펀드 구조를 말한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유통되는 가상자산으로,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이번 행정명령은 ‘대체자산의 대중화’라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장기적 흐름을 미국 퇴직연금 제도에 본격적으로 접목하는 첫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8만 달러 고지를 시험 중인 비트코인과, 금리 고점 논란 속에서도 꾸준한 대체투자 수요를 자랑하는 사모펀드 업계로서는 수백만 근로자의 장기 자금이라는 안정적 자금원을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다만, 유동성 위험·평가 투명성·수수료 구조 등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401(k) 참여자가 투자 선택지를 넓히려면 투명한 공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결국 정책 성공 여부는 개별 사업장 플랜스폰서와 운용사의 리스크 관리 능력에 달려 있다는 평가다.
이번 조치는 대선 2기를 맞은 트럼프 행정부가 내건 ‘규제 완화를 통한 자본시장 활성화’ 기치와 맥을 같이한다. 향후 노동부가 어떤 구체 지침을 내놓느냐에 따라 실제 투자 비중과 상품 유형이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 본 기사는 원문을 바탕으로 한 번역·재구성 기사로, 인용된 숫자와 사실은 모두 원문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