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3년간 중단됐던 핵실험(nuclear testing)을 재개하겠다고 공식 확인했다. 다만 그는 지하 핵폭발 실험 포함 여부 등 구체적 세부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2025년 10월 3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주 팜비치로 향하던 에어포스원(Air Force One) 기내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아주 조만간 알게 될 것이다.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 실험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
다른 나라들이 하고 있다. 그들이 한다면, 우리도 할 것이다, 알겠는가?
“라며 핵무장국의 실험 동향을 거론하며 결정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여기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목한 “다른 나라”는 러시아와 중국으로 풀이된다.
앞서 10월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군에 즉각 핵무기 실험 절차(nuclear weapons testing process)에 착수하도록 명령했다”고 전격 발표했다. 해당 글은 그가 한·중 정상회담을 위해 한국 부산으로 이동하던 도중 게시돼 국제 안보 커뮤니티에 충격을 줬다.
배경 및 용어 설명
지하 핵실험(underground nuclear test)은 폭발로 인한 방사능 낙진을 줄이기 위해 지하 깊은 곳에서 핵탄두를 폭발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미국은 1992년 콤방인 드릴로 알려진 실험을 마지막으로 모든 핵폭발 실험을 중단했고, 이후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비폭발 검증만을 실시해 왔다.
국제 협정과의 관계
1996년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CTBT)은 모든 형태의 핵폭발 실험을 금지하지만, 미국은 서명만 했을 뿐 상원 비준을 받지 못해 정식 발효시키지 못했다. 그럼에도 미국은 자발적으로 30년 넘게 실험을 중단해 왔다는 점에서 이번 발표는 사실상 자체 모라토리엄(moratorium) 파기의 선언으로 해석된다.
관련 기관
만약 핵폭발 실험이 실제로 재개될 경우, 실무는 국가핵안보청(NNSA, 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이 담당한다. 반면 핵탄두 탑재 가능 미사일 시험발사(flight testing)라면 미 공군과 미사일방어국(MDA)의 관할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느 쪽을 의미하는지 명시하지 않았으나, 전문가들은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33년 만의 실험 재개 의미
미국은 1945년 트리니티(Trinity) 실험을 시작으로 총 1,054회의 핵폭발 실험을 실시했다. 1992년 9월 네바다 사막에서 진행된 마지막 지하 실험 이후, 미국은 클린턴 행정부 시절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다. 따라서 이번 결정은 냉전 종식 이후 첫 공식 핵실험 재개라는 역사적 전환점이 된다.
전문가 분석 및 전망
국제안보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중·러 삼각 경쟁 구도 속 “힘의 과시”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러시아는 이미 2023년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 탈퇴 절차를 개시했으며, 중국 역시 신형 핵탄두 개발을 위해 로프노르(Lop Nur) 기지의 활동을 늘리고 있다는 분석 보고서가 나왔다. 트럼프 정부의 결정이 현실화한다면, 세 강대국이 21세기판 핵실험 경쟁으로 빠져들 위험이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는 북한의 지속적 핵무력 고도화와 맞물려 긴장 수위가 더욱 치솟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 일본 등 미국의 전통적 동맹국은 확장 억제 공약(extended deterrence) 재확인 요구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역으로 역내 군비경쟁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등장한다.
경제·시장 파급력
금융시장에서는 방위산업체·우라늄 관련주가 변동성을 보였다. 우라늄 선물가격은 장중 2% 이상 상승했고, 주요 방산기업 주가 역시 강세를 나타냈다. 투자은행들은 “핵실험 카드가 미·중 무역 협상을 지렛대로 활용될 조짐”이라며, 지정학적 리스크 프리미엄이 당분간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책 절차 및 의회 변수
미국 대통령이 예산·안보 사안에 관해 행정명령(executive order)만으로 핵실험을 재개할 수는 있지만, 실제 예산 배정은 의회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현재 의회 내에서는 공화·민주 양당이 첨예하게 맞서 있어, 실험 예산안이 통과되기까지 상당한 정치적 공방이 예상된다.
향후 일정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수 주 내에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러나 환경평가, 안전검증, 국제모니터링 시스템과의 협의 등 절차를 고려하면 실제 실험까지는 수개월에서 1년 이상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네바다 국가안보현장(Nevada National Security Site)이 가장 유력한 실험 후보지로 꼽힌다.
전문가 코멘트
미 국방부 출신 군비통제 전문가 A. 존슨 박사는 “핵실험 재개는 단순한 과학적 시험을 넘어 정치·외교적 메시지를 동반한다”며 “중·러뿐 아니라 동맹국에도 강력한 시그널을 보내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평가했다.
맺음말
미국의 핵실험 재개 선언은 21세기 핵질서의 중대한 분수령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실제 폭발 실험인지, 미사일 시험인지 여부, 그리고 국제사회·의회의 반응이 향후 글로벌 안보 지형을 재편할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