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CHIPS법 예산 중 최소 20억 달러를 핵심 광물 프로젝트로 전용 검토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가 CHIPS and Science Act(이하 CHIPS법) 예산 가운데 최소 20억 달러를 반도체가 아닌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s) 개발 사업으로 돌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계획은 해당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을 인용한 로이터 통신 보도로 처음 전해졌다.

\n\n

2025년 8월 2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의회가 승인해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칩 공장 건설에 배정해 둔 재원을 활용해 중국 의존도가 큰 광물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전략을 구상 중이다.

“새롭게 예산을 요청하지 않고도 유휴 재원을 전용하는 방식이어서 정치적·절차적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 내부 검토 문서에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n\n

CHIPS법이란?

CHIPS법은 2022년 8월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산업지원 법안으로, 521억 달러 규모의 연방 보조금·세액공제 등을 통해 미국 내 반도체 연구와 첨단 칩 제조시설(팹) 건설을 촉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해당 법안이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의 기폭제”라고 강조해 왔으며, 인텔·삼성전자·TSMC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잇따라 미국 내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배경이 됐다.

\n\n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반도체산업만큼이나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요소가 바로 핵심 광물”이라며, 희토류(rare earths),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전기차·배터리·방산 전자 부품에 필수적인 원자재 공급망을 정비하지 못하면 반쪽짜리 전략에 그칠 것이라고 보고 있다.

\n\n

로이터는 이번 전용안이 성사될 경우 상무부 장관으로 내정된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이 광물 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권한을 실질적으로 얻게 된다고 전했다. 현재 광물 관련 정책은 내무부·에너지부·국방부·상무부 등으로 흩어져 있어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n\n


\n\n

왜 중국 의존도를 우려하나?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희토류 글로벌 생산량의 70% 이상이 중국에서 나온다. 추가 가공·정제 단계까지 합치면 중국의 시장 장악력은 80%를 웃돈다. 미 국방부는 군수·우주·레이더 시스템에 투입되는 영구자석의 90%가 중국산 희토류에 기반을 둔다고 분석한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에 불러들이더라도 핵심 광물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n\n

실제로 지난달 미 국방부는 희토류 채굴·정제 기업 MP 머티리얼즈(MP Materials)에 대한 직접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투자 규모·조건·기술 이전 범위를 두고 의문이 제기되면서 “정부 부처 간 협업이 어긋나고 있다”는 비판이 일었다. 백악관 관계자들은 이번 문제를 계기로 “광물 정책 컨트롤타워를 단일화할 필요성”이 부상했다고 전했다.

\n\n

행정부·의회의 반응

백악관은 로이터·인베스팅닷컴의 질의에 “검토 중인 사안에 대해 논평하지 않겠다”고 답변을 거부했다. 펜타곤(국방부)도 즉각적인 코멘트를 내놓지 못했고, MP 머티리얼즈 역시 “회사 차원의 입장을 밝힐 사안이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

\n\n

용어 정리: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s)

“핵심 광물”은 공급망 교란이 일어날 경우 경제·국가안보·산업 전반에 치명적 영향을 주는 원자재를 뜻한다. 미국 에너지부는 희토류 17종, 리튬, 흑연, 코발트 등 50여 종을 Critical Mineral List에 올려 관리한다. 대부분은 채굴지 자체가 제한적이거나 가공·제련 능력이 특정 국가에 집중된 특성을 보인다.

\n\n

전용 계획의 잠재적 영향

업계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반도체 팹 보조금이 일부 밀릴, 1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소재부터 완제품까지 전략적 자립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국 반도체협회(SIA)는 “칩 제조 생태계는 소재·설비·공정이 유기적으로 얽혀 있어, 광물 공급 안정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공장 증설도 차질을 빚는다”고 분석했다.

\n\n

워싱턴 정가에서는 의회의 사전 승인 여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CHIPS법 예산은 특정 용도에 묶여 있기 때문에, 행정부가 단독으로 재배치할 경우 “입법권 침해”라는 정치적 논란도 예상된다. 다만 트럼프 측은 “법률이 명시한 범위 내에서 연구·산업기반 강화라는 목적을 공유한다”는 논리를 앞세워,
‘재량지출(discresionary spending)’ 권한을 활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n\n


\n\n

전문가 시각

일각에서는 “반도체와 핵심 광물이 사실상 하나의 가치사슬”이라며 전용안을 지지한다. 반면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비는 대만·한국 대비 20~30% 비싸다”는 통계2를 들어, 보조금 축소가 투지지연·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는 우려도 크다.

조지타운대 국제경제학과의 린다 구 교수는 “중국과의 전략 경쟁 구도가 심화될수록 공급망 특정 구간에 집중된 취약점이 양국 모두에게 지렛대가 된다”며 “장기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n\n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트럼프 전 행정부가 예산 전용안의 세부 시행지침을 마련하려면, 상무부·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의회의회예산국(CBO)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구체적인 대상 광종·투자 프로젝트 목록, 예산 집행 기한 등이 공개될 경우 반도체·배터리·방산 섹터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n\n

한편, 로이터 통신은 “이번 기사 작성에는 생성형 AI가 도입됐으며 최종 내용은 에디터 검수를 거쳤다”고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