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아동 25명 사망 연계 주장…접근 제한 검토

(로이터)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보건 당국자들이 코로나19 백신이 아동 25명의 사망과 연관됐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접종 대상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년 9월 12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계획은 사안에 정통한 4명의 발언을 인용해 전해졌다. 보도 내용은 미 보건당국이 곧 열릴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해당 주장을 공식 제시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신문은 관계자 발언을 토대로, 당국자들이 연방정부 백신 부작용 신고 시스템(VAERS)*1에 제출된 검증되지 않은 사례 보고를 근거로 사망 사례를 언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VAERS는 누구나 입력할 수 있는 자발적 신고 데이터베이스로, 실제 인과성을 입증하지 않는다.

주목

미 보건복지부(HHS)는 이메일 성명을 통해 “FDA(식품의약국)와 CDC(질병통제예방센터) 직원들이 VAERS 및 기타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시 분석하고 있다”며 “안전성 데이터가 공개되기 전까지는 해당 주장을 ‘순전한 추측’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밝혔다.

백신 제조사 주가도 즉각 반응했다. 모더나 주가는 8% 급락했고, 화이자는 3% 넘게 하락했다. 나스닥에 상장된 바이오엔테크 주가 역시 9% 이상 떨어졌다.


트럼프 행정부 보건팀은 오는 18~19일 개최될 CDC 새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해당 사망 사례를 포함한 새 백신 권고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그러나 로이터는 해당 보도를 독자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

모더나는 이메일 답변에서 “90개국 이상 규제당국이 자사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아동·임산부에서 새로운 안전성 우려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화이자는 논평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

주목

FDA 커미셔너 마티 마카리는 지난주 CNN 인터뷰에서 “VAER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으로 사망한 아동이 있다”고 언급하며 “우리는 적절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수 주 내 보고서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 보건장관을 맡고 있는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는 백신에 회의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취임 이후 건강한 아동·청소년·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정기 접종 권고를 폐지하고, 대상 연령을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로 대폭 축소했다.

미국소아과학회(AAP)를 비롯한 다수의 의학·공중보건 단체는 이러한 정책 변화에 강력히 반발하며 “아동과 임산부 역시 백신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의회·보건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케네디 장관을 지지하고 있다. 케네디는 취임 직후 CDC 국장을 해임하고, 백신 권고를 담당하던 자문위원 17명을 전원 교체했다.

재편된 CDC 자문위원회는 오는 18일과 19일 이틀간 회의를 열어 새로운 코로나19 백신 권고안과 아동 사망 사례 연계 주장에 대한 자료를 검토할 예정이다.


• 용어 설명 및 배경

*1 VAERS(Vaccine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는 미 보건복지부와 CDC, FDA가 공동 운영하는 온라인 신고 플랫폼이다. 의료진뿐 아니라 일반인도 접종 후 이상 반응을 자발적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보고 내용 자체는 ‘사실 확인 전 단계의 의혹’으로 분류된다. 때문에 학계·당국은 VAERS 데이터를 신호 탐지 용도로 사용한 뒤, 별도의 역학 연구로 인과성을 검증한다.

정책적 파장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행정부의 급격한 권고 축소는 백신 접종률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다”고 우려한다. 주가 급락은 투자자들이 정책 리스크를 즉각적으로 반영했음을 시사한다.

다만 실제 인과성이 확인될 경우 백신 안전성 평가 체계가 다시 점검되고, 특정 연령층에 대한 접종 전략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문가 해설

기자 관점에서, 이번 사안은 정책·정치·의료 데이터 해석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백신 반대 운동의 상징적 인물을 장관으로 기용한 행정부가 ‘검증 전 데이터’를 근거로 접종정책을 조정할 경우, 과학적 합의와 정치적 결정 사이의 간극이 한층 커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CDC 자문위원 구성이 전원 교체된 만큼, 향후 권고안은 행정부 기조가 고스란히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의학계의 반발과 추가적 사회 갈등을 촉발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의료계·학부모 등 이해관계자는 9월 18~19일 회의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