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시브론의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 재개 허용 추진

[뉴욕]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시브론(뉴욕증권거래소: CVX)베네수엘라에서의 원유 생산 허가를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다시 받을 전망이다.

2025년 7월 24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가 관련 사안을 논의한 이후 급물살을 탔다. WSJ는 “사안에 정통한 인사들”을 인용해 “세부 조항이 아직 완전히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베네수엘라 마두로 정권에 로열티나 세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Chevron conducts its business globally in compli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applicable to its business, as well as the sanctions frameworks provided for by the U.S. government, including in Venezuela.”

—빌 튀렌(Bill Turenne) 시브론 대변인, WSJ 인터뷰 중


정책 급선회 배경

이번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 시절 부여됐던 시브론의 기존 라이선스를 2025년 초에 철회한 이후 불과 몇 달 만에 나온 정책적 180도 전환이다. 지난주 10명의 미국인 억류자가 석방된 미·베네수엘라 인도적 포로 교환이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부 메커니즘은 완전히 공개되지 않았으나, 마두로(Maduro) 정권에 직접적인 자금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로열티·세금 차단장치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미국 내 대(對)베네수엘라 제재 법령을 준수하면서도 시브론의 사업 연속성을 보장하려는 절충안으로 읽힌다.


에너지·시장 영향

원유업계는 이번 조치가 글로벌 공급 다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한다. 베네수엘라는 OPEC 산유국 가운데 매장량이 가장 많지만, 장기간의 국제 제재와 인프라 노후화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시브론의 복귀는 시설 재가동·투자 유입을 촉진해 단기적으로 수십만 배럴의 추가 공급이 가능하리라는 관측이다.

시장 반응도 즉각적이다. 뉴욕 현지시각 13시(ET) 기준 시브론 주가는 1% 상승했다. 분석가들은 “정책 리스크가 완화되면 주가 추가 랠리도 기대된다”고 전망한다.


용어·배경 설명

라이선스(license)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제재 대상 국가에서 특정 기업의 활동을 허용하기 위해 발급하는 예외 승인서다. 2023~2024년 바이든 행정부는 인도적 목적과 에너지 안정을 이유로 시브론에 제한적 라이선스를 부여했으나, 2025년 초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철회한 바 있다.

로열티·세금 차단장치는 베네수엘라 국영석유회사(PDVSA)나 베네수엘라 정부로의 직접 현금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 계좌 설정, 에스크로(동결) 기능 등을 의미한다. 실제 운영 방식이 공개될 경우, 국제 금융·제재 준수 업계의 관심이 높을 전망이다.


전문가 시각

에너지 전략가들은 “베네수엘라 생산이 점진적으로 재개될 경우, 전 세계 원유 시장의 구조적 공급 부족 압력을 완화하는 동시에, 미국 정유사의 라틴 아메리카 원유 의존도를 높일 것”이라고 평가한다. 다만 “정치 리스크와 노후 시설 문제로 실질적인 증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이번 거래가 미국 대선 국면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안보와 자국 기업의 해외 자원 접근을 강조해왔다. 그 과정에서 인권·제재 프레임에 대한 유연성이 확대될 조짐이다.


향후 과제

첫째, 세부 계약이 공개되면 의회국제 사회가 이를 어떻게 평가할지 주목된다. 둘째, 베네수엘라 내부 정치 상황이 불안정한 만큼, 시브론의 자산 안전 및 운영 보안이 관건이다. 셋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이 강화되는 가운데, 대형 석유 기업의 제재 대상 국가 진입이 국제 투자자들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을지도 변수다.

결론적으로, 이번 결정은 미국의 에너지·외교 전략에 중대한 함의를 갖는다. 시브론이 실제로 생산을 재개하면, 베네수엘라와 미국 모두에게 경제적 이익이 예상되지만, 정치·제재 리스크가 상존하는 복합적 상황임을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