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총정리: 이미 시행 중인 관세와 추가 부과 가능성

워싱턴ㆍ로이터 발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 협상력 제고를 명분으로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전면전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국가별·제품별로 세분화된 고율 관세를 포함하며, 글로벌 공급망과 금융시장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예고한다.

2025년 8월 6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미국 수입품에 기본 관세율 10%를 적용하고, 특정 국가 또는 품목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다층 구조를 도입했다. 이는 2018년 첫 철강·알루미늄 관세 이후 누적돼 온 무역 규제의 사실상 ‘결정판’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장기간 적자를 이어 온 미국의 대외 무역수지를 개선하고, 자국 제조업과 전략 산업을 보호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다만 경제학자들은 관세가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국내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보복 관세에 따른 수출 감소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Ⅰ. 국가별 관세 (Country-Specific Tariffs)

아프가니스탄 15%
알제리 30%
앙골라 15%
방글라데시 20%
볼리비아 1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
보츠와나 15%
브라질 50% (항공기·에너지·오렌지주스 등 일부 부문은 인하)
브루나이 25%
캄보디아 19%
카메룬 15%
캐나다 에너지 제품 10%, USCMA 비대상 품목 35%
차드 15%
중국 30% (특정 품목 추가 관세 포함, 8월 12일 만료 예정)
코스타리카 15%
코트디부아르 15%
콩고민주공화국 15%
에콰도르 15%
적도 기니 15%
유럽연합 대부분 품목 15%
포클랜드 제도 10%
피지 15%
가나 15%
가이아나 15%
아이슬란드 15%
인도 25% (추가 25%는 8월 28일 발효 가능)
인도네시아 19%
이라크 35%
이스라엘 15%
일본 15%
요르단 15%
카자흐스탄 25%
라오스 40%
레소토 15%
리비아 30%
리히텐슈타인 15%
마다가스카르 15%
말라위 15%
말레이시아 19%
모리셔스 15%
멕시코 USMCA 비대상 품목 25%
몰도바 25%
모잠비크 15%
미얀마 40%
나미비아 15%
나우루 15%
뉴질랜드 15%
니카라과 18%
나이지리아 15%
북마케도니아 15%
노르웨이 15%
파키스탄 19%
파푸아뉴기니 15%
필리핀 19%
세르비아 35%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대한민국 15%
스리랑카 20%
스위스 39%
시리아 41%
대만 20%
태국 19%
트리니다드토바고 15%
튀니지 25%
터키 15%
우간다 15%
영국 10% (일부 자동차·금속은 글로벌 상향 관세에서 면제)
바누아투 15%
베트남 일부 품목 20%, 제3국 경유 40%
잠비아 15%
짐바브웨 15%

Ⅱ. 제품별 관세 (Product-Specific Tariffs)

철강·알루미늄 50%
자동차 및 부품 25%
동(銅) 파이프·튜브·반가공품 50%

Ⅲ. 추가 부과가 예고된 제품별 관세 (Threatened Tariffs)

• 의약품 최대 200%
• 반도체 25% 이상
• 영화 100%
• 목재·제재목 (Timber & Lumber)
• 핵심 광물 (Critical Minerals)
• 항공기·엔진·부품
• 애플 아이폰 25%

‘기본 관세율’은 모든 수입품에 일괄 적용되는 10% 추가 부담을 의미한다. 여기에 국가·제품별 추가 관세가 겹치면 해당 품목에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관세가 두 자릿수 후반에서 세 자릿수에 이를 수 있다. 예컨대, 중국산 철강 튜브를 수입할 경우 기본 10% + 중국 추가 30% + 철강 제품 관세 50%가 누적돼 최대 90%까지 적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시장 반응 및 전망*

국제 무역 분석가들은 “관세 충격이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비용 부담으로 이어져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0.2~0.3%p 낮출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자동차·반도체 등 글로벌 공급망이 복잡한 산업은 생산 라인이 여러 국가에 분산돼 있어, 관세 누적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전략산업 보호가 장기적으로 ‘제조업 르네상스’를 가져올 것이라는 논리를 고수하고 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비대칭적 무역 관행을 바로잡고, 자국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여력을 강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용어 설명

관세(Tariff)는 한 국가가 해외에서 들어오는 제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국내 업체 보호·재원 조달·교역 촉진 또는 억제 등 목적이 다양하다. 트랜스시프먼트(Trans-shipment)는 제3국을 거쳐 우회 수출하는 행위를 뜻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통한 ‘우회 덤핑’을 차단하기 위해 베트남산 재수입품에 40%라는 초고율 관세를 책정했다.


전문가 관점

현재 공개된 관세 구조만으로도 글로벌 무역 환경은 1970년대 오일쇼크 못지않은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특히 다자주의 질서를 지탱해 온 세계무역기구(WTO)의 분쟁 해결 메커니즘이 약화된 상황에서, 이번 조치가 ‘힘의 논리’로 귀결될 경우 국제 규범의 공백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한국의 경우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반도체·철강이 직접적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관세 비용이 제품 가격에 반영되면 미국 내 판매 단가 인상→수요 위축→생산 조정이라는 연쇄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곧 국내 고용·투자 계획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국 기업들은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 공급망 재편, 또는 관세 회피를 위한 원산지 다변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이 성공하려면 정책 예측 가능성이 전제돼야 하며, 빈번한 관세 변경은 투자 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향후 주요 변수는 ① 중국과의 8월 12일 관세 만료 협상, ② EU·캐나다 등 동맹국의 보복 관세 여부, ③ 2026년 미 대선 국면에서의 보호무역 공약 재확인으로 압축된다. 시장 참가자들은 “정치 일정에 흔들리는 관세 정책이 장기적 투자를 억제해 글로벌 성장 모멘텀을 제약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확대 기조는 단기간 교역 상대국을 압박해 재협상 테이블로 끌어낼 수 있지만, 동시에 글로벌 가치사슬을 훼손해 불확실성을 극대화할 소지가 있다. 투자자와 기업은 관세 체계 변화 추이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조달처 다변화, 생산 거점 이동, 가격 전략 조정 등 위험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