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발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까지 단행한 연이은 관세 인상 조치는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고 실물경제 전반에 극심한 불확실성을 초래했다. 멕시코·캐나다·중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 상대국이 직격탄을 맞았으며, 미국 기업과 소비자 역시 직접적·간접적 부담을 떠안게 됐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같은 날 추가 대(對)인도 관세 25%를 공표하며 ‘무역 압박’ 기조를 다시 한 번 강화했다. 이번 조치로 러시아산 원유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했다는 이유로 인도산 제품 전반에 상계(相計) 관세가 매겨졌으며, 국제 원자재·환율 시장이 즉각 반응했다.
아래는 2025년 2월 1일부터 8월 6일까지 확인된 주요 관세 결정 타임라인이다. 각 날짜는 백악관 또는 대통령 ‘트루스 소셜(Truth Social)’ 계정 발표 시점을 기준으로 정리했다.
2월 1일 –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산 대부분의 수입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첫 대규모 관세를 부과했다. 그는 두 나라에 대해 ‘펜타닐①·불법 이민 유입 차단’이라는 요구 조건을 명시했다.
2월 3일 – 멕시코·캐나다 측이 국경 단속과 범죄 대응을 강화하기로 약속하면서, 백악관은 30일간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했다. 중국과는 같은 조건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2월 10일 – 철강·알루미늄 제품 전 품목 관세가 일률적으로 25%로 인상됐다. 이는 철강업체 주가에 단기 호재로 작용했으나, 자동차·가전 등 다운스트림(하위) 산업 비용을 끌어올렸다.
3월 3일 – 멕시코·캐나다산 물품에 대한 25% 관세가 예고대로 3월 4일 발효됐다. 중국산 수입품 중 펜타닐 관련 품목의 관세는 20%로 두 배 인상됐다.
3월 6일 – 북미무역협정(USMCA) 적용 품목은 한 달간 관세 면제를 받았다.
3월 26일 – 수입 자동차·픽업트럭에 25% 관세가 발표돼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급락했다.
4월 2일 – 세계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기본 관세율 10%’가 부과됐다. 특정 국가는 이보다 훨씬 높은 세율이 적용됐다.
4월 9일 – 시장 혼란을 의식한 백악관은 국가별 추가 관세를 90일간 유예했지만, 10%의 포괄적 관세는 그대로 유지됐다. 동시에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기존 104%에서 125%로 상향돼 실질 부담은 최대 145%까지 치솟았다.
5월 9일 – 케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의 한·영 소규모 무역협정이 타결됐으나, 대(對)영 수출품에는 여전히 10% 관세가 남았다. 영국산 자동차 부품 관세만 단계적으로 인하됐다.
5월 12일 – 미·중 양국은 90일 휴전에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산 추가 관세를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 관세를 10%로 낮췄다. 양측 주가가 단기 반등했으나 근본적 신뢰 회복에는 실패했다.
5월 23일 – 트럼프는 애플에 대해 ‘미국 외 생산 아이폰’에 25% 관세를 경고했다. 공급망 다변화 압박이 강해지며 대만·베트남 제조시설 확장 논의가 가속됐다.
5월 29일 – 연방항소법원이 최광범위 관세 조치의 효력을 임시 복원하면서, 하급심 판결을 정지시켰다.
6월 3일 –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50%로 재차 인상됐으며, 관련 기업 주가가 반등하는 반면 대형 제조업체 비용 부담이 급등했다.
7월 3일 – 베트남산 다수 수출품에 20% 관세가 예고됐고, 제3국 경유 물품에는 40%의 ‘우회 수출 방지’ 관세가 부과됐다.
7월 6일 – 트럼프는 BRICS② 동맹국과 협력하는 국가에 추가 10% 관세를 공표했다.
7월 7일 – 일본·한국·세르비아 등 14개국에 25~40% 관세가 8월 1일부로 시행된다고 서한을 통해 통보했다.
7월 10일 – 캐나다산 수입품은 8월부터 35% 관세 대상이 됐으며, 기타 국가에는 15~20% ‘일괄 관세’ 방침이 발표됐다.
7월 15일 – 인도네시아산 제품에 19% 관세 계약이 체결됐다.
7월 22일 – 일본과 타결된 무역협정으로 일본산 자동차 관세가 15%로 완화됐다.
7월 27일 – 미국·EU 간 합의에 따라 대부분의 EU 제품에는 15% 관세가 책정됐다.
7월 28일 – 별도 협정을 체결하지 않는 나라에는 15~20% 관세가 곧 적용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7월 30일 – 인도산 제품에는 25%, 브라질산 대부분의 제품에는 50% 관세가 예고됐다. 항공기·에너지·오렌지주스 등은 일부 쿼터를 적용받았다. 한국과는 15% 수준으로 완화된 합의가 도출됐다. 구리 파이프·전선에도 50% 관세가 8월 1일 발효될 예정이다.
7월 31일 – 트럼프 대통령은 69개 교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10~41%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 펜타닐 관련 품목 관세는 25%에서 35%로 인상됐다. 멕시코에는 30% 고율 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해, 광범위한 무역협정을 협상할 시간을 부여했다.
8월 6일 –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원유를 수입했다는 이유로 인도산 제품 전반에 추가 25% 관세를 단행했다.
① 용어 해설 – 펜타닐(fentanyl)
펜타닐은 강력한 합성 마약성 진통제로, 소량으로도 치명적이며 최근 미국 내 마약 과다복용 사망의 주범으로 꼽힌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멕시코를 주요 공급원으로 지목하며 관세를 협상 지렛대로 활용해 왔다.
② 용어 해설 – BRICS
브라질(B), 러시아(R), 인도(I), 중국(C), 남아공(S) 5개국 신흥경제 협의체의 약칭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국가들이 ‘반(反)미국 정책’을 펼친다며 동맹국들에게도 추가 관세를 경고했다.
“관세는 협상의 수단이자 필살기”라고 자칭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은 국내 제조업 부흥과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지정학적 긴장을 동시에 유발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시장 참여자들은 관세 발표 시점마다 미 달러화 강세, 원자재 급등, 신흥국 통화 약세가 반복되는 ‘관세 헤드라인 리스크’를 체감하고 있다. 특히 다국적 기업들은 ‘생산거점 다변화’와 ‘리쇼어링’(국내 복귀) 전략을 병행하며 장기적 대응책을 모색하는 중이다.
한편, 2024년 이후 미국 의회는 대통령의 ‘무역확대법(Section 232)’ 권한 남용을 제어하기 위한 초당적 법안 발의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선거를 1년 남짓 앞둔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는 여전히 유권자 결집에 유효한 정치적 무기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은 “무역전쟁 장기화가 공급망 인플레이션을 고착화시켜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또한, 동맹국들이 잇따라 개별 협정 체결에 나서면서 ‘다자간 무역질서’가 사실상 해체 단계에 들어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는 국제 규범보다는 국가 안보·정치 논리에 기반한 ‘거래적 외교’로 요약된다. 향후 미국·중국·EU·신흥국 간 복수의 소형·중형 무역협정이 동시다발로 체결될 가능성이 높아, 세계 교역 구조는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