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계 쇼트폼 동영상 플랫폼 TikTok(틱톡)의 소유권 구조 재편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막대한 ‘fee plus’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거래가 ‘단순 승인’ 차원을 넘어선다고 강조하면서 “미국이 딜을 만들어 냈기 때문에 정당한 보상을 요구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2025년 9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United States is getting a tremendous fee plus”라며 “단순 수수료(fee)에 플러스 알파까지 포함된 형태”라고 구체화했다. 그는 “이 거래를 체결하기 위한 행정적 노력과 국가 안보 리스크 완화를 위한 미국 측 기여를 감안하면,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19일(금요일) 최종 협의를 마치길 희망한다”고 밝혀, 합의가 성사될 경우 미·중 정상 간 통화 또는 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구체적인 합의금 규모, 지급 방식, 법적 근거 등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fee plus’ 용어 해설
fee plus는 통상 서비스 제공 대가로 받는 수수료(fee)에 추가 금액을 얹어 받는 계약 형태를 일컫는다. 정부가 민간 기업 간 인수·합병(M&A)에 ‘fee plus’ 형태로 직접 참여해 금전적 이익을 얻겠다고 밝힌 사례는 극히 드물어 금융·법조계의 위헌성·전례 여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CFIUS(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가 국가 안보 판단을 내릴 때조차 해당 기업의 자산을 직접적으로 ‘정부 수입원’으로 삼는 구조는 전례가 없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행정부가 사기업 거래에서 ‘거래 수익 일부를 정부가 공유한다’는 선례를 만들 경우, 향후 글로벌 M&A 시장에서 정치적 변수가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
■ 정치·경제적 파장과 전문가 분석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안보 명분으로 틱톡을 압박한 뒤 ‘수수료’까지 확보하는 방식은 일석이조 전략”이라며 “11월 대선을 앞두고 ‘강경 대중(對中) 정책’과 ‘경제적 성과’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
반면 일부 학계 인사들은 “민간 기업 매각 대금의 일부를 국가가 직접 취득하는 것은 시장경제 원칙과 배치된다”며 “외국인 투자자에게 미국 시장의 예측 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시장 역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거래 내용에 따라 나스닥에 상장된 빅테크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며, 중국 정부의 대응이 거세질 경우 위안화·달러 환율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딜을 만들었고, 그 대가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 향후 일정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 말미에 “19일 시진핑 주석과 논의해 최종 결론을 도출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타임라인을 제시했다. 단계별로는 ① 미·중 정상 간 합의, ② CFIUS 검토 결과 공개, ③ 틱톡 지분 구조 재편, ④ 미국 내 데이터 보안 조치 발표 순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관련 행정명령이나 의회의 승인 절차가 필요한지 여부도 이르면 오는 주말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향후 협상이 무산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는 틱톡의 미국 내 사업을 전면 금지하거나 강제 매각 시한을 재설정할 수 있어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