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블랙아웃’ 감수 의지…중국 협상 타결의 분수령이 됐다

【워싱턴 D.C.】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CNBC ‘스쿼크박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go dark)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드러내며 중국 측과의 협상 판세를 뒤집었다고 말했다.

2025년 9월 16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를 위해서라면 거래를 포기하고서라도 틱톡을 암전시킬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으며, 이 같은 태도가 협상에서 결정적 전환점으로 작용했다고 베센트 장관은 설명했다.

베센트 CNBC 인터뷰 장면

주목

베센트 장관은 “

대통령께서는 틱톡이 ‘캄캄이’ 상태가 되더라도 국가 안보에 불이익을 주는 거래는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명확히 하셨다

”고 언급하며, 중국이 결국 협상 테이블로 복귀한 직접적 이유라고 평가했다.


9월 17일 자산 매각 최종 시한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는 여전히 9월 17일까지 미국 사업을 매각(divest)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 전면 중단 또는 퇴출에 직면한다. 아직 백악관이 기한 연장을 공식 발표하진 않았으나, 미국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가 전날 “합의 서명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베센트 장관은 “상업적 조건은 이미 3~4월에 사실상 완성됐다”고 밝혔지만,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대중(對中) 관세 인상 발표 이후 중국 정부가 협상을 유보하면서 일정이 지연됐다.

주목

틱톡 화면

go dark’는 인터넷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이 완전히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돼 사용자 접근이 차단되는 상황을 뜻하는 표현이다. 미국 정부가 실제로 틱톡을 블랙아웃할 경우, 하루 활성 이용자(DAU)가 수천만 명에 달하는 미국 시장은 즉각적인 공백에 직면하게 된다.


■ 관세·칩 규제 갈등 속 ‘전환점’ 평가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칩) 수출 제한, 추가 관세 등 연이은 무역 압박 카드를 꺼내 들면서 미·중 관계에 긴장이 고조됐다. 그럼에도 이번 틱톡 협상은 양국 긴장 완화의 ‘첫 단추’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은 이번 주 금요일 화상 회담을 갖고 최종 서명을 논의할 예정이다.

베센트 장관은 “

우리는 안보와 직결되는 사안을 제외한 여러 사안에 ‘하지 않겠다’는 합의를 도출했다

”면서, 국익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협상의 폭을 넓혔다고 강조했다.


■ 백악관도 틱톡 계정 개설…1백만 팔로어 돌파

역설적이게도,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자체 틱톡 공식 계정을 개설해 불과 몇 주 만에 100만 명에 가까운 팔로어를 확보했다. 정부 홍보 채널로써 잠재력이 확인된 만큼, 서비스 중단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잠재 매수자로는 오라클(Oracle) 창업주 래리 엘리슨 회장, 테슬라(Tesla)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 등이 거론되고 있다. CBS뉴스 보도에 따르면, 오라클은 복수의 투자자와 함께 틱톡 미국 사업권 인수를 타진하고 있다.

사실 오라클은 이미 틱톡의 클라우드·웹 인프라 핵심 파트너로, 사용자 데이터 저장·처리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해 왔다. 로이터 통신도 “백악관이 오라클 주도 컨소시엄을 통해 데이터 관리·보안을 일원화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 용어·배경 설명

바이트댄스(ByteDance)는 2012년 중국 베이징에서 설립된 테크 기업으로, 알고리즘 기반 숏폼 영상 앱 틱톡(중국명 ‘더우인’)으로 글로벌 히트를 기록했다. USTR은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의 약자로, 미국의 대외통상 정책과 협상의 전권을 지니는 대통령 직속 기구다.

‘블랙아웃(go dark)’은 원래 군사·정보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던 용어로, 전파·신호를 끊고 잠행 모드에 돌입한다는 뜻을 지닌다. 최근에는 인기 플랫폼이 법적·정책적 문제로 서비스를 전면 중단할 때도 이 표현을 사용한다.


기자 관점 – 향후 전망

이번 사안은 미·중 디지털 주권 분쟁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정부로 유출될 위험을 근거로 강경책을 고수해 왔다. 반면 중국은 ‘기술 탈취’ 프레임을 경계하며, 미국 기업의 지분 참여 규모와 데이터 접근 권한을 민감하게 조율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서비스 중단 카드를 꺼내든다면, 향후 중국계 앱뿐 아니라 여타 해외 플랫폼에도 전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또한 글로벌 빅테크가 국가별 데이터를 현지화해 분산 저장·관리하는 ‘트러스트 앤드 세그먼트(Trust & Segment)’ 전략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향후 협상 결과가 글로벌 플랫폼 규제 프레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