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ㆍ中 디지털 갈등의 핵심, TikTok 매각 시한 재연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TikTok(틱톡)의 미국 내 자산 매각·지분 정리(디베스트먼트) 마감 기한을 다시 한 번 늦출 가능성이 제기됐다. 로이터통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9월 17일로 예정돼 있던 최종 시한을 네 번째로 연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9월 14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연장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연방법원 판결 집행 유예의 연장선에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원칙적으로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한다는 방침을 유지하면서도, 수차례 시한을 늦추며 ‘소프트 랜딩’을 모색해 왔다.
틱톡은 본래 2025년 1월부터 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1기 취임 직후 발효된 행정명령으로 금지 조치는 잠정 중단됐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 1억 7,000만 명이 이용하는 플랫폼을 하루아침에 차단할 수 없다”며 기한을 총 세 차례 연기했다.
“미국 사용자·창작자의 경제적 이익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국가안보를 보호하겠다”—트럼프 대통령, 2025년 8월 연설 중
제4차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14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막했으며, 이 자리에서 틱톡 문제도 의제로 다뤄졌다. 그러나 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은 “9월 17일 이전에 최종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은 낮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앞선 제네바·런던·스톡홀름 세 차례 협상에서는 틱톡이 공식 의제에 오르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된다. 미국 측은 “사이버 안보”를, 중국 측은 “산업 경쟁 중립성”을 강조하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잠재적 인수 후보군과 베이징 승인 변수
트럼프 대통령은 8월 연설에서 “틱톡 미국 사업부를 인수할 준비가 된 자금력이 풍부한 기업”이 있다고 시사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NASDAQ: MSFT), 아마존(NASDAQ: AMZN), 오라클(NYSE: ORCL) 등이 거론된다. 다만 최종 인수에는 중국 정부의 해외 직접투자(ODI) 허가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유튜브 스타 ‘미스터비스트’(James Donaldson)와 동영상 플랫폼 럼블(NASDAQ: RUM)도 인수 의향을 공개했다. 럼블은 ‘보수 성향 크리에이터 친화’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어, 빅테크와 다른 대안적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왜 ‘연장’이 반복되는가?
전문가들은 크게 세 가지 요인을 지목한다.① 첫째, 국가안보와 표심이라는 상충 목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안보 리스크를 강조하면서도, 1억 7,000만 명 유권자의 반발을 우려한다.② 둘째, 글로벌 규제 기관의 승인 절차다.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뿐 아니라 중국 상무부도 동의해야 한다.③ 셋째, 평가 가치다. 시장에서는 틱톡 미국법인의 몸값을 400억~700억 달러로 추정하지만, 매도·매수 간 간극이 크다.
이와 별개로 미국 의회 일각에서는 ‘금지보다는 엄격한 데이터 현지화(Data Localization)’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알아두면 좋은 배경지식
틱톡은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가 2016년 출시한 쇼트폼 영상 플랫폼이다. 알고리즘 기반 맞춤형 추천으로 Z세대 이용자를 대거 확보했다. 반면 미국 정부는 “개인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유출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2019년부터 조사를 확대해 왔다.
럼블(Rumble)은 2013년 캐나다에서 출범한 동영상 플랫폼으로, ‘검열이 적은 환경’을 표방한다. 2022년 나스닥에 상장해 보수 성향 인플루언서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또한 CFIUS(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S.)는 “미국 내 안보 위협 여부”를 판단하는 정부 간 위원회로, 외국계 기업의 미국 내 인수·합병을 심사한다.
향후 전망과 관전 포인트
시장 관계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선 국면에서 정치적 레버리지로 틱톡 이슈를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는다. 실제로 9월 17일 기한이 다가오더라도, ‘조건부 연장’ 혹은 ‘부분 매각’ 카드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미·중 무역협상이 전략적 경쟁 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틱톡 문제는 단순한 플랫폼 매각을 넘어 데이터 주권과 기술 패권이라는 거시적 이슈로 확장될 전망이다.
© 2025 Investing.co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