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추가 관세, 반도체 업계에 어떤 영향? — 번스타인 ‘향후 시나리오’

[글로벌 관세 전쟁 심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에서 추진 중인 무역정책이 다시 한번 고율 관세라는 형태로 현실화됐다. 이번 조치가 장기적으로 안착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특히 반도체 산업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025년 8월 2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 ‘상호주의(reciprocal)’ 관세 시한을 앞두고, 전날 밤(현지시간) 행정명령에 서명해 수십 개국에 대해 관세를 최고 50%까지 인상했다. 해당 관세는 8월 7일 0시 1분부터 발효된다.

주요 경제권·신흥국 모두 대상

이번 행정명령으로 유럽연합(EU), 일본, 대한민국 등 주요 선진 경제권은 15%의 관세가 책정됐고, 미국과의 무역수지에서 흑자를 내는 다른 국가는 10%의 관세를 부과받는다. 이보다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되는 나라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브라질은 50%가 적용되고, 캐나다는 기존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부합하지 않는 품목에 대해 35%가 적용됐다.

멕시코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이 워싱턴과 협상을 지속하기로 하면서 추가로 90일간 유예를 받았다.


번스타인의 해석 — “이번엔 실제 안착 가능성”

글로벌 증권사 번스타인은 이날 낸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해당 관세 수준과 시점을 그대로 유지할지는 미지수지만, 일부 새로운 세율은 이미 실제 합의의 결과로 결정된 만큼 이번 틀이 장기적 기준선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기업 입장에서 관세 구도가 확정되면 중·장기 사업계획 수립이 한층 수월해지고, 투자자들도 충격을 가늠하기가 쉬워진다”라며 “시장 참여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에 점차 무뎌져 왔지만, 이번 조치만큼은 ‘고착화’할 공산이 높다”라고 분석했다.

“관세 체계가 불확실할 때보다 확정적일 때가 기업의 운영에는 궁극적으로 유리하다.” — 번스타인 보고서 중


반도체·제약 등 특정 산업 겨냥 가능성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는 반도체와 제약 등 첨단 제조업이다. 백악관이 향후 업종별 관세를 추가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데, 번스타인은 반도체의 경우 “완제품(end devices)에 대한 관세뿐 아니라 부품(component) 단계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번스타인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 인사의 발언 수위를 볼 때, 수주 내 추가 뉴스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라고 내다봤다.

투자의견은 유지됐다. 번스타인은 Nvidia(NVDA), Broadcom(AVGO), Qualcomm(QCOM), Applied Materials(AMAT), Lam Research(LRCX)를 ‘아웃퍼폼(outperform)’으로 유지했고, AMD(AMD), Analog Devices(ADI), Intel(INTC), NXP(NXPI), Texas Instruments(TXN)는 ‘마켓퍼폼(market perform)’을 유지했다. 목표주가와 실적 추정치도 변경하지 않았다.


용어 한눈에 보기

• 상호주의 관세(Reciprocal Tariff) : 상대국이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만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을 되돌려 부과하겠다는 정책.
• 아웃퍼폼 :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는 증권사 투자의견.
• 마켓퍼폼 : 시장 평균 수준의 수익률이 예상된다는 의미.


전문가 시각 — “공급망 재편 가속”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공급망이 미국·유럽·아시아 간 다극화될 가능성을 우려한다. 특히 장비·소재 업체가 위치한 한국, 일본, 대만 기업들의 생산 거점 이전 압력이 거세질 수 있다. 또한 고율 관세가 소비자 전자기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수요 둔화가 반도체 업황을 직접 타격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관세 수준이 명확해지면 오히려 예측 가능성이 높아져 단기 변동성이 줄어들 수 있다”라고 평가한다. 즉, 불확실성이 상쇄되면 주가에 이미 반영된 ‘최악의 가정’이 완화될 수 있다는 논리다.

결국 시장은 8월 7일 관세 발효와 이후 백악관의 업종별 발표를 실시간으로 주시하며, 공급망 재배치와 실적 전망을 면밀히 계산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