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자산을 미국 인구 전체에 균등 분배하면 1인당 받는 돈은?

수십억 달러”라는 표현은 국제 뉴스에서 흔히 등장하지만, 일반인에게는 피부로 와닿기 어렵다. 미국 45대 대통령이자 부동산 투자자로 잘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의 막대한 재산을 모든 미국인에게 똑같이 나눠주면 과연 얼마가 돌아갈까. 이 질문은 미국 경제 매체 고뱅킹레이츠(GOBankingRates)가 2025년 7월 20일(현지 시각) 공개한 흥미로운 가정 분석의 출발점이다.

2025년 7월 20일, 나스닥닷컴의 전재 보도에 따르면, 고뱅킹레이츠는 트럼프의 총순자산을 기준으로 미국 인구 3억4,718만1,484명(미국 인구조사국 추정치)을 나누는 계산을 수행했다. 결과는 의외로 소박했다. 1인당 15.55달러라는 숫자가 도출된 것이다.

트럼프 자산 가상 분배 이미지

트럼프 순자산 50억 달러 이상 — 포브스(Forbes)는 2025년 6월 기준 트럼프의 재산을 약 54억 달러(한화 약 7조1,000억 원)로 추정한다. 주된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맨해튼 중심가 상업·주거용 고급 부동산
  • 전 세계 10여 곳의 골프 리조트
  • 버지니아주 와이너리
  • Boeing 757 개인기 ‘트럼프 포스 원(Trump Force One)’
  • 트럼프 미디어&테크놀로지 그룹(Truth Social 운영)의 지분

2020년대 들어 그는 NFT(Non-Fungible Token) 판매, 사진집·커피테이블 북 출간, 소셜미디어 기업 주식 매각 등으로 수천만 달러를 추가로 벌어들였다. 다만 2024년 뉴욕주 대법원은 자산 가치를 부풀렸다는 이유로 4억5,4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고, 트럼프 측은 항소 절차를 진행 중이다.


15.55달러로 살 수 있는 것 2025년 물가 기준

15.55달러(약 2만1,000원)는 거대한 부자 한 명의 재산을 나눴을 때 개인에게 돌아오는 몫이 얼마나 미미한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고뱅킹레이츠는 다음과 같은 소비 예시를 제시했다.

  • 휘발유 약 3갤런(약 11리터) — 국제유가 변동에 따라 차이가 큼
  • 스트리밍 서비스 1개월 이용권
  • 패스트푸드 콤보 세트 한 끼 (감자튀김 추가)
  • 스마트폰 고급 충전 케이블 1개
  • 엔비디아(Nvidia) 주식 0.00016주
  • 영화관 일반 관람권 1장

국내 소비자 물가로 환산하면, 편의점 도시락 두세 개 혹은 중형 커피전문점 라테 세 잔에 해당한다. ‘억만장자’의 재산을 통째로 나눠도 생활 체감 효과는 미미하다는 사실이 강조된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분배 시나리오

트럼프 순자산 대부분은 현금이 아닌 비유동 자산이다. 부동산·기업 지분·골프 리조트 같은 고정자산을 처분하려면 시장에 매물이 대량으로 쏟아져야 하고, 이는 가격 폭락을 초래해 잔여 자산 가치까지 훼손할 수 있다.

또한 자산 매각에는 막대한 양도소득세가 따라붙는다. 보유 기간과 취득가에 따라 수억 달러 규모의 세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매도 시점 시장가격이 무너질 경우 실제 회수 가능한 금액은 순자산 추정치보다 크게 줄어든다.

미국 법률상 억만장자가 강제로 재산을 전 국민에게 현금 지급할 의무는 없다. 법원 명령이나 개인적 신념이 없는 한 자발적 분배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 단순 호기심 차원의 ‘숫자 퍼즐’로 받아들이면 충분하다.


NFT·Truth Social이란?용어 해설

한국 독자에게 낯설 수 있는 NFT는 ‘대체 불가능 토큰’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자산의 고유성과 소유권을 인증하는 방식이다. 트럼프는 2022년 말부터 자신의 얼굴을 활용한 컬렉터블 NFT 카드를 판매해 큰 화제를 모았다.

Truth Social은 트럼프 미디어&테크놀로지 그룹(TMTG)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 2022년 2월 서비스를 시작했다. 보수 성향 이용자를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아직 수익 구조는 불안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문가 시각 — ‘부의 환상’ 보다 구조적 격차가 문제

취재진이 만난 경제학자들은 “초고액 자산가 1명의 부를 나누는 것만으로는 구조적 불평등 해소에 근본적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통계에 따르면 상위 1%가 보유한 부의 총액은 46조 달러가 넘는다. 트럼프 재산의 9,000배 이상 규모다. 한 명이 아닌 다수 억만장자의 자산이 집중된 체계를 어떻게 제도적으로 다룰지가 정책 과제로 남는다.

“거대한 숫자를 개인 단위로 환산하면 심리적 거리감이 사라진다. 이는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앤드루 카펜터 뉴욕시립대(CUNY) 경제학과 교수

그러나 자산 몰수·강제 분배는 법적·도덕적 쟁점이 크다. 그보다는 세제 개편, 교육·보건 투자, 노동시장 공정성 제고 등 ‘중산층 기반 강화’가 보다 현실적 대안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결론

트럼프가 실제로 54억 달러를 전 국민에게 나눠줄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 하지만 1인당 15.55달러라는 숫자는 “억만장자 개인의 부가 사회 전체에는 얼마나 희석되는가”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지표다. 거대한 부를 바라보는 우리의 사고방식과 정책 프레임을 재고할 계기로 삼을 만하다.

부의 분배 개념 이미지

한편 고뱅킹레이츠는 비슷한 방식으로 제프 베이조스, 일론 머스크 등 다른 억만장자의 자산 분배 시나리오도 연재 중이다. 한국 독자에게도 글로벌 부의 편중 현상을 이해하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