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도네시아와 ‘관세 99% 철폐’ 새 무역협정 전격 발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인도네시아와의 신규 무역협정을 전격 체결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합의로 미국산 제품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입할 때 부과되던 관세의 99%가 사라진다는 점이 핵심이다.

2025년 7월 22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자동차·기술·농축산업계를 포함한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대규모 수출 확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를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체의 거대한 승리”라고 평가했다.

이번 무역협정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산 자동차·산업용 장비·반도체·ICT(정보통신기술) 제품·농산물은 인도네시아 통관 시 전면 무관세 혜택을 받는다. 둘째, 인도네시아산 제품이 미국으로 수출될 때는 19%의 균일 관세가 적용된다. 이는 양국 간 관세 구조에 상당한 불균형을 남기는 조치여서, 미국 측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합의는 미국의 자동차 업체, 기술기업, 노동자, 농부, 목축업자, 제조업체 모두에게 막대한 이익을 안겨줄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성명 중

협정에는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s) 공급 조항도 포함됐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미국에 니켈·코발트·망간 등 전기차 배터리 필수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그 대가로 보잉(Boeing) 항공기NYSE: BA 및 미국산 곡물·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을 ‘수십억 달러’ 규모로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용어 풀이
관세(tariff)란 국가가 외국 상품이 국내로 들어올 때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무역협정에서 관세 인하나 철폐 조항이 포함되면, 해당 상품 가격이 낮아져 수입국 소비자와 수출국 기업 모두에게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s)은 첨단산업·국방·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필수적이지만 공급이 제한적인 자원을 의미한다. 최근 글로벌 전기차·반도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국·EU·중국 등 주요국이 핵심 광물 공급선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의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을 “매우 존경받는 인물”로 칭하며, 이번 협정이 성사된 배경에는 두 정상 간 신뢰가 크게 작용했다고 강조했다.

업계 영향
무관세 혜택으로 미국 자동차 및 기술 기업은 동남아 최대 경제권인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크게 확보할 전망이다. 특히 디트로이트 3사(GM·포드·스텔란티스)의 완성차 및 전기차 부품이 현지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동시에, 인도네시아가 미국산 농산물과 LNG·원유 구매를 확대하면 미국 내 농가와 에너지 기업의 수출 실적 개선도 기대된다.

반면, 인도네시아 기업들은 19%의 관세 장벽을 넘어 미국 시장에 진입해야 하므로, 실질적 수출 확대 여력은 제한적일 수 있다. 자카르타 현지 경제단체는 “19% 관세는 사실상 높은 허들”이라며 추가 재협상 필요성을 시사했다.

정치·외교적 함의
이번 합의는 미국이 인도양·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경제·안보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핵심 광물 공급망에서 우방 국가와 협력을 강화하고, 보잉 항공기 판매를 통해 방산·항공 우위를 유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시장의 반응
협정 발표 직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보잉 주가는 장중 한때 3% 가까이 상승했으나, 관세 격차에 따른 인도네시아 측 부담이 부각되면서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다. 미국 농업 ETF와 희토류·니켈 관련 기업 주가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양국 간 무역수지 변화 추이. 둘째, 인도네시아 내부에서의 정치·경제적 반발과 재협상 가능성. 셋째, 핵심 광물 공급망에서 중국·호주·EU가 취할 대응이 변수다. 넷째, 2026년 예정된 미국 대선 레이스에서 이번 합의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외교·경제 성과로 활용될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전면 무관세 조항이 실질적 효력을 발휘하려면 세부 통관 절차, 비관세 장벽 문제, 지적재산권 보호 등이 후속 협의에서 명확히 규정돼야 한다”면서, “이번 합의가 양국 경제 협력의 시작점이 될지, 아니면 미·중 갈등 속 지정학적 카드로 그칠지는 향후 협상 진척 상황에 달려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