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애리조나 ‘리졸루션 구리광산’ 추가 지연 결정에 “반(反)미적 행태” 맹비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오틴토(Rio Tinto)와 BHP가 공동 개발 중인 애리조나 ‘리졸루션(Resolution) 구리광산’의 토지 교환 절차가 또다시 제동이 걸리자 이를 “반미(反美)적 행태”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2025년 8월 20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 제9연방항소법원은 전날 임시 금지 명령(Temporary Restraining Order, TRO)을 내려 토지 이전을 일시 중단했다. 해당 명령은 재판부가 사건의 본안 심리를 진행하는 동안 쟁점 부지가 원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긴급 조치다.

이번 결정은 산카를로스 아파치 부족(San Carlos Apache Tribe) 등 원주민‧환경 단체가 제기한 종교·문화·환경적 침해 주장을 받아들여 효력을 발휘했다. 이들은 광산 예정 부지가 원주민의 성지(聖地)이자 수자원 보호구역이라며 강력히 반대해 왔다.


트럼프 “구리가 지금 당장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세계 최대 경제권인 미국은 지금 즉시 구리가 필요하다”며 “급진 좌파 활동가들이 수천 개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적었다. 그는 해당 반대 세력이 “구리 시장에서 미국과 경쟁 관계에 있는 외국을 대변한다”고도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백악관에서 리오틴토 CEO 야콥 스타우스홀(Jakob Stausholm), BHP CEO 마이크 헨리(Mike Henry), 그리고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Doug Burgum)과 면담했다. 그는 면담 직후 이번 판결에 대한 불만을 즉각 표출한 것이다.


20년에 걸친 대형 프로젝트, 또 다시 ‘멈춤 버튼’

리오틴토(지분 55%)와 BHP(지분 45%)는 피닉스 동쪽 약 60마일, 수피리어(Superior) 인근에 위치한 리졸루션 구리광산을 20여 년째 추진 중이다. 회사 측은 “미국 내 최대 규모가 될 수 있는 ‘미개발(untapped) 구리 매장지’”라고 강조하며, 가동 시 애리조나 주 경제에 연간 10억 달러를 기여할 것이라고 추산한다.

그러나 토지 이전에 관한 연방 의회 승인(2014년) 이후에도 문화재보호법(NEPA)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검토 등 각종 행정·사법 절차가 이어지며 착공이 수차례 연기됐다. 이번 TRO는 “단지 ‘일시 정지’에 불과하며 결국 법원이 토지 이전을 확정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원주민 사회의 반발과 반론

“이 광산은 성스러운 지역을 파괴하고, 환경을 악화시키며, 우리의 물 권리를 위협하는 미국에 해로운 사업이다.” — 테리 램블러(Terry Rambler) 산카를로스 아파치 부족 의장

램블러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외국계 광산 회사들이 퍼뜨려 온 허위 정보”를 반복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행정부와 대화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추가 설명: TRO(임시 금지 명령)은 미국 사법제도에서 돌이킬 수 없는 손해를 막기 위해 가처분 수준으로 발부되는 긴급 조치다. 본안 판결 전까지 잠정적으로 행위를 중단시키며, 통상 14일 이내 유효하다.


‘녹색 전환’ 속에 치솟는 구리 수요

구리는 태양광 패널·풍력 터빈·방위 산업·AI 데이터센터 등 현대 산업 전반에 필수적인 전도성 금속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와 민간 리서치업계는 저탄소 경제 전환 가속화로 향후 10년간 구리 수요가 공급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리졸루션 구리광산 부지

BHP의 헨리 CEO는 링크드인 글에서 “미국 내 공급망 재건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버검 장관이 보여준 강력한 리더십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리오틴토 측 역시 “리졸루션 개발 의지는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 시각

산업계에서는 에너지 안보·국가 안보 관점에서 미국 내 광물 공급망 다변화가 필수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하지만 연방·주정부 인허가 체계가 복잡하고, 원주민‧환경 단체의 반발이 잇따르면서 실제 투자 집행까지는 장기화되는 사례가 많다. 이번 판결은 그러한 제도·사회적 갈등 구조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결국 법원이 임시 금지 명령을 연장할지, 혹은 본안 심리에서 토지 이전을 승인할지가 귀추를 가를 전망이다. 구리 가격과 미국 광업 정책에도 직·간접적 파장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