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대 주주로 있는 Trump Media and Technology Group(티커: DJT)이 비트코인 및 관련 디지털 자산을 약 20억 달러어치 보유하고 있다고 22일(한국시간) 밝혔다. 이는 회사 전체 유동성 자산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며, 트럼프 대통령 재산 규모를 한층 끌어올리는 결정적 요인으로 평가된다.
2025년 7월 21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DJT 주가는 월요일 개장 직후 최대 9% 급등했고, 동부시간(ET) 오후 2시 기준 약 4% 상승세를 유지했다. 회사 지분 59%가량을 보유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분 가치는 23억 달러에 달한다.
가상화폐가 트럼프 재산 포트폴리오의 핵심으로
미 경제지 포브스가 6월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일가가 보유한 암호화폐 자산은 이미 대통령 순자산의 과반을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는 디지털 자산에 회의적이었지만, 취임 직전부터 전략적으로 가상화폐 분야에 뛰어들어 미국을 “세계 최고의 크립토 허브”로 만들겠다고 공언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 3월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Strategic Bitcoin Reserve)’을 설립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이른바 ‘크립토 차르(crypto czar)’를 임명했으며, 의회에 다수의 암호화폐 관련 법안 통과를 촉구했다.
지난 18일 그가 서명한 GENIUS법은 스테이블코인 규제의 기본 틀을 제시하는 입법으로, 민주·공화 양당의 초당적 지지를 얻어 통과됐다. 이 같은 일련의 정책은 시장 기대감을 자극하며 비트코인 가격을 사상 최초로 12만 달러를 돌파하게 했다.
트럼프 미디어의 사업 구조 변화
DJT는 스페셜 퍼포스 어퀴지션 컴퍼니(SPAC)와의 합병을 통해 지난해 나스닥에 상장했다. SPAC란 비상장 기업 인수를 목적으로 설립되는 ‘백지수표 기업’을 뜻한다.1 상장 당시 이 회사의 주력 서비스는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이었지만, 월간 활성 이용자가 제한적이라 수익성은 미미했다.
그러나 회사는 올 1월 Truth.Fi라는 핀테크 브랜드를 선보이며 2억 5천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및 ETF(상장지수펀드)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뒤이어 2월에는 ‘전략적 인수 펀드’를 구성하겠다고 공표했고, 3월에는 가상자산 거래소 Crypto.com과 제휴해 시리즈 ETF를 출시하기로 했다.
5월 말 DJT는 50개 기관투자가에게 전환사채 및 신주를 판매해 23억 달러 순자금을 조달했으며, 이를 ‘비트코인 국고’를 구축하는 데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해당 전략의 구체적 실행 단계임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트럼프 대통령 가족의 암호화폐 사업
대통령 가족이 소유한 또 다른 블록체인 프로젝트 World Liberty Financial은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으로, 지난해 9월 첫 선을 보인 뒤 로이터 추산 5억 달러 수익을 창출했다. 이어진 ‘밈 코인’ $TRUMP는 취임식을 불과 며칠 앞두고 공개됐으며, 단기간에 거래량이 폭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전 자신이 보유한 DJT 지분을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관리하는 취소 가능 신탁(Revocable Trust)으로 이전했다. 대통령 측은 “직무 중 이해충돌은 없다”고 주장하지만, 시민단체 Democracy Defenders Fund는 4월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정책으로 직접 이익을 얻는 위치”라고 비판했다.
시장 반응과 전망
DJT 최고경영자 데빈 누네스는 보도자료에서 “우리는 공표한 전략을 엄격히 실행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국고 계획을 이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자산은 금융기관 차별로부터 회사를 보호하고, 트루스 소셜 생태계에 도입 예정인 유틸리티 토큰과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DJT의 비트코인 매입이 회사 재무를 단기간 강화할 수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에 따라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대통령이 재임 중 거액의 가상자산 이해관계를 유지하는 사례는 전례가 없어, 윤리적·법적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용어 설명
1SPAC(스팩) :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자로, 기존 기업 인수·합병(M&A)을 위해 설립되는 페이퍼컴퍼니다. 일반 기업보다 간소한 절차로 상장해 자금을 모은 뒤, 비상장 회사를 합병함으로써 우회상장의 창구로 활용된다.
ETF(상장지수펀드) : 특정 지수·자산 가격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펀드로,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 매매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ETF도 잇따라 출시되며 시장 외연을 넓히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 달러·유로 등 법정통화나 국채·단기 채권 등에 가치가 연동된 암호화폐로, 가격 변동성이 낮아 결제 수단으로 각광받는다. GENIUS법은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을 미국 내에서 규제·감독할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 2025 The AI Journal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