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필리핀과의 무역협상이 타결됐다고 발표하며, “필리핀은 19%의 관세율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7월 2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회담을 마친 뒤 해당 내용을 공개했다.
“아름다운 방문이었다. 우리는 무역협정을 마무리했으며, 필리핀은 미국과 완전한 오픈 마켓 체제를 도입하고 제로(0%) 관세를 적용할 것이다. 그러나 필리핀은 19% 관세를 낼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공식 성명을 통해 배포됐다.
이번 발언은 “오픈 마켓과 제로 관세”라는 표현과 “19% 관세 부과”라는 문구가 동시에 포함돼 상충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 참가자들의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까지 양국 정부는 관세 부과 방식, 세율 적용 범위, 발효 시점 등의 구체적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았다.
관세(Tariff)란 해외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국내 산업 보호·무역수지 개선·정치적 목적 등 다양한 이유로 활용된다. 수입국이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수입국 정부의 재정 수입원이 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필리핀이 관세를 납부한다’는 표현은 통상적인 관세 정의와 배치되는 측면이 있어, 경제·통상 전문가들은 “서면 합의서 공개 전까지는 해석을 유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필리핀 대통령실은 아직 공식 성명을 내지 않았지만, 현지 경제지들은 이번 협상 결과가 필리핀 수출기업과 미국 소비자 모두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긴밀한 후속 분석을 예고했다. 특히 농산물·전자제품·의류 등 양국 교역 규모가 큰 산업에서 관세 19% 부과 여부가 확인될 경우, 가격 경쟁력과 물류 흐름이 직접적으로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 시각 — 글로벌 무역법 전문 변호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구두 발표만으로는 협정서에 명시된 의무를 확정할 수 없다”며, 상호·대응 관세나 특정 품목 예외 규정이 들어갈 여지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미국 의회 비준 절차가 필요한 사안인지 여부에 따라 발효 일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장 반응은 아직 신중하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PHP/USD 환율 변동폭은 미미했으나, 양국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될 때까지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끝으로, 다자무역체제(WTO) 규범상 회원국은 타 회원국에 대해 가장혜택국(MFN) 대우를 적용해야 한다. 만약 미국이 필리핀에만 19%의 관세를 일방적으로 부과한다면, 다른 교역 상대국이 차별적 대우를 문제 삼을 소지가 있어 WTO 분쟁 절차가 개시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백악관과 마닐라 정부 모두 구체적 합의문과 일정표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 양국 의회·산업계·통상 전문가들이 긴밀히 협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확인한 바로는 향후 며칠 내 후속 기자회견이 예정되어 있으며, 추가 자료가 발표될 경우 관세율 적용 방식과 무역 장벽 완화 여부에 실질적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