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무역협정 미체결국에 최대 50% 관세 명령 서명 임박—Politico

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높은 ‘상호주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여러 건을 8월 1일(현지시간) 이전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정치전문 매체 Politico가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캐나다·멕시코·대만 등 주요 교역 상대국이 새로운 무역협정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관세율을 대폭 인상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5년 7월 3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설정한 8월 1일 시한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한 국가에 대해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고 못 박았다. 이는 지난 4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해 온 ‘상호주의 관세 정책’(reciprocal tariff policy)의 연장선으로, 과거에는 유예 기간을 부여했지만 이번에는 예외를 두지 않겠다는 의미다.

정책 세부 내용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브라질산 제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100달러 이하 소액 온라인 직구 제품에 적용되던 관세 면제도 폐지했다. 또한 구리 제품에 대한 관세를 신설했고, 한국·파키스탄과는 투자 및 에너지 협력을 조건으로 관세 인상 제외 합의를 끌어낸 상태다.

“인도와도 곧 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지 않으면 25% 관세를 부과할 것”

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7월 31일 백악관 행사에서 밝혔다. 다만 인도와의 최종 합의는 아직 성사되지 않았으며, 25% 관세가 예고된 상태다.

Politico는 협상 마감에 임박해 있는 국가로 대만·레소토·스위스 등을 꼽았다. 이들 국가는 무역수지 적자를 빠르게 해소하지 못할 경우 관세율이 급등하지만, 현실적으로 적자 폭을 단기간에 줄일 뚜렷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호주의 관세’란 무엇인가?

‘상호주의 관세 정책’은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만큼 동일하거나 더 높은 관세를 매겨 “공정 무역”을 구현하겠다는 트럼프 전·현직 행정부의 핵심 통상 기조다. 다만 WTO 규범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WTO: 세계무역기구

전문가 시각: 글로벌 공급망과 인플레이션에 미칠 파급 효과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북미·아시아·유럽 주요 국가에서 제조 원가 상승 → 소비자 가격 전가 →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라는 ‘3단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자동차·반도체·농산물 분야 수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 내 기업은 대체 공급처 확보에 상당한 비용을 투입해야 한다.

또한 캐나다·멕시코와 같은 인접 국가가 관세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경우,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의 무역 질서에도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는 장기적으로 북미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할 수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물류 혼란과 기업 투자 위축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8월 1일 자정까지 행정명령을 발효할지, 혹은 막판에 일부 국가와 전격 합의를 발표할지가 시장의 최대 관심사다. 투자자들은 달러 강세·농산물 선물가격·신흥국 통화 변동성 등 거시 지표를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법적 분쟁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 본 기사는 원문에 충실히 기반하되, 기자의 분석과 전망을 포함해 작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