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남부 아프리카의 소국 레소토(Lesotho)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을 기존 계획된 50%에서 15%로 낮추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2025년 8월 1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올해 4월 발표했던 광범위한 상호관세 전략의 일환으로, 레소토를 비롯한 수십 개 국가의 관세율을 재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행정명령 전문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레소토가 자국으로 수입되는 미국산 제품에 최대 99%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동일한 수준의 ‘상호적(reciprocal)’ 관세 부과 방안을 검토해 왔다. 그러나 레소토 정부는 “99%라는 수치는 근거가 불분명하다”고 반박해 왔다.
레소토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둘러싸인 인구 약 230만 명의 내륙 산악국이다. 자국 경제의 상당 부분이 의류·섬유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시장을 최대 고객으로 삼아 왔다.
4월 관세 폭탄 예고 후 미국 바이어들은 불확실성을 이유로 레소토산 의류 주문을 대거 취소했다. 이로 인해 현지 공장 가동률이 급감했고, 대량 해고 사태가 벌어졌다.
“만약 고율 관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미국 시장을 포기하고 다른 시장을 찾아야 한다”고 레소토 의류 수출업체 Afri-Expo의 테보호 코벨리(Teboho Kobeli) 대표는 올해 초 로이터 인터뷰에서 토로했다.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란? 해당 용어는 상대국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율을 상대국 제품에도 적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통해 무역협상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미국 정부는 이번 15% 조정으로 레소토 섬유산업이 받는 단기 충격을 완화하면서도 ‘공정 무역’ 원칙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관세 협상이 지속되는 동안 미국 의류업체들의 공급망 차질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레소토 상무부 관계자들은 “관세 인하 결정은 긍정적이지만, 15% 역시 과거 무관세 체제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장기적으로 미국과의 무역 의존도를 줄이고 시장 다변화 전략을 가속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투자 회복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예측 가능한 무역 환경’을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미국 내 대형 리테일러들이 4분기 발주를 앞두고 있는 만큼, 추가 관세 변동 가능성은 중요한 변수로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공정하고 상호적인 무역”을 강조하고 있으며, 향후 무역 파트너 국가들의 관세 구조를 지속적으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