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EU와 15% 관세 포함 ‘사상적 무역 합의’ 발표

【워싱턴·브뤼셀 특파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전면 15% 관세를 포함하는 역사적 무역 협정에 합의했다. 이는 원유·가스 등 에너지군수 장비 부문에서 대규모 거래를 담고 있어 세계 교역 구조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

2025년 7월 2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스코틀랜드 체류 중 가진 기자회견에서 “EU산 제품이 미국에 들어올 때 15% 관세가 적용될 것이며, 그 대가로 EU는 미국산 에너지와 군사 장비를 대규모로 구매하고 미국 경제에도 막대한 투자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합의의 핵심 숫자는 단연 눈에 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산 에너지 7,500억 달러(약 1,010조 원)어치를 구매하고, 미국 내 6,000억 달러(약 81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들은 자국 시장을 무관세(Zero Tariff)로 개방하기로 동의했고, 미국산 군수 장비를 막대한 규모로 구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들은 풍부한 에너지를 원하고,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 도널드 트럼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도 합의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그는 “15% 일괄 관세는 양대 교역 파트너 간 무역 불균형을 재조정하는 핵심 장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조치는 미·EU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양측 기업에 더 명확한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 용어 해설
· 관세(Tariff): 국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재정 수입 확보·무역 정책 조정을 목적으로 한다.
·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정치·경제 공동체로, 단일 시장을 운영하며 역내 상품·서비스·자본·인의 이동 자유를 보장한다.
· 무관세(Zero Tariff): 특정 품목이나 국가 간 교역에서 세금을 전혀 부과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 에너지·국방 분야 파급효과
에너지 부문에서는 미국산 LNG(액화천연가스)·원유·셰일가스 수출량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EU가 7,500억 달러 규모를 장기간에 걸쳐 구매한다면, 텍사스·루이지애나 등 주요 산유 주(州)의 생산·설비 투자 확대가 뒤따를 전망이다.
군수 부문에서는 F-35 스텔스 전투기, 패트리엇 요격 미사일, 첨단 통신·지휘 체계 구매가 거론된다. 이는 미국 방산업체들의 수주 잔고 확대로 이어져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 WTO 규범과의 충돌 가능성
15% 일괄 관세가 세계무역기구(WTO) 최혜국 대우 원칙(MFN)과 상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당사국 간 상호 합의가 이뤄졌기 때문에, 사실상 양자협정에 준하는 특별 예외로 인정받을 여지가 있다”고 분석한다.

■ 미·EU 통상사(史) 속 이번 합의의 위치
1970년대 대서양 무역 분쟁, 2002년 철강 관세 갈등, 2018년 항공기 보조금 소송 등 양측은 수차례 대립해 왔다. 이번 합의는 상호 보복 관세 악순환을 실질적으로 멈추고, 대규모 실물 거래를 조건으로 새로운 통상 규범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시장 반응과 전망
월가에서는 에너지·방산주 강세 가능성이, 유럽 증시에서는 수출 의존 제조업체들의 수익성 개선 기대가 제기된다. 그러나 유럽 내 일부 산업단체는 “관세 인상이 역내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향후 6개월간 실질적 상품 이동·투자 집행 속도가 합의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종합적으로 이번 미·EU 무역 합의는 관세와 대규모 구매·투자를 교환함으로써 양측 경제에 단기적 경기 부양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관세 부과에 따른 물가 부담, WTO 규범과의 마찰, 정치적 불확실성은 중·장기 리스크로 남는다.


투자자·무역 관계자들은 세부 이행 일정의회·회원국 승인 절차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EU 회원국별 이해관계가 상이한 만큼, 최종 발효까지는 추가 협상과 국내 절차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