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로이터=인베스팅닷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1월 취임 이후 미국 회사채·주·지방채를 포함해 총 1억 달러(약 1,330억 원)*1 이상을 매입한 사실이 정부 윤리국(U.S. Office of Government Ethics, 이하 OGE) 공시를 통해 확인됐다.
2025년 8월 2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초 온라인에 게재된 재무 공시 양식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1월 21일 취임 직후부터 진행한 600건 이상의 금융거래 내역이 포함돼 있다. 이는 취임 다음 날부터 8월 12일 공시일까지 이뤄진 매입 내역으로, 각 거래 금액은 구간별(예: 10만~25만 달러)로만 기재돼 있어 정확한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해당 회사채에는 씨티그룹(Citigroup),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웰스파고(Wells Fargo) 등 월가 주요 금융기관이 다수 포함돼 있다. 메타(Meta), 퀄컴(Qualcomm), 홈디포(The Home Depot), 티모바일 USA(T-Mobile USA),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itedHealth Group) 등 빅테크·통신·헬스케어·유통 섹터로도 매입 범위가 넓게 분포돼 있다.
이밖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주(州)·카운티·시·학군·가스공사 등 다양한 지방정부·공공기관이 발행한 채권을 대거 편입했다. 이러한 지방채(municipal bond)는 통상 세금우대(이자 소득 면세) 혜택이 있어 고액자산가들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자주 활용된다.
“보유 종목·채권의 상당수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 변화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이해충돌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 전문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가 출신 정치인으로, 2025년 재선 직후 자신의 사업체를 자녀가 운영하는 신탁(Trust)에 이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6월 제출된 연례 재정 공시에서는 여전히 여러 소득이 최종적으로 대통령에게 귀속되는 구조가 확인돼 ‘이해충돌’ 지적이 제기됐다.
이번 채권 대량 매입 사실이 공개되자 미 의회 일부 의원과 시민단체는 “대통령의 자본시장 거래 투명성과 공직윤리 문제를 재점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악관은 8월 20일(현지시간)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즉각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용어‧배경 설명]
미국 정부 윤리국(OGE)은 백악관을 포함한 행정부 고위공직자의 이해충돌 여부를 점검·감독하는 독립기관이다. 고위공직자는 취임 후 30일 이내, 이후 매년 5월 15일까지 재산 및 소득 변동 사항을 보고해야 하며, 위반 시 벌금 또는 형사처벌이 가능하다.
회사채(Corporate Bond)와 지방채(Municipal Bond)는 발행 주체가 각각 기업·지방정부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방채 이자는 연방세 면제가 일반적이어서, 고소득자의 절세 수단으로 널리 쓰인다.
[기자 분석]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포트폴리오 특징은 다각화(diversification)와 세제혜택(maximizing tax efficiency) 전략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이다. 씨티그룹·모건스탠리·웰스파고 등 대형은행 회사채는 금리 인상 국면에서 크레딧 스프레드 확대 위험이 있지만, 대규모 유동성과 정부 규제 완화 기조 덕분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또한 메타·퀄컴·티모바일 등 기술·통신 채권은 5G·AI 인프라 투자 확대 흐름에 따라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경쟁력을 내세우는 산업과 직접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향후 정책 수혜 가능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다만 현직 대통령의 대규모 금융거래는 언제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및 ‘정보 비대칭’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무상 취득한 비공개 정책 정보를 개인 투자에 활용하지 않았음을 입증하려면, 독립적 모니터링과 추가 정보 공개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방채의 경우, 연방 정부의 인프라 예산·세제 정책이 금리 및 스프레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데, 해당 정책을 최종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대통령이 대량 보유한다는 점이 향후 윤리 규범·법률 개정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공시는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자산 관리 전략뿐 아니라, 행정부 최고위층의 투자 행태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재차 환기시킨다. 향후 의회·감사 기관 차원의 심층 조사 여부와 백악관의 대응이 시장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