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최신 관세 발표, 아시아 각국의 ‘막바지 대응’

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현지시간) ‘상호주의 관세(reciprocal tariff)’율을 전격 조정하며 시한 직전까지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이번 명령은 트랜스쉬프먼트(transshipment)¹를 통한 우회 수출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40% 관세를 부과하고,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에는 추가 10% 관세를 매기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5년 8월 1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발표한 행정명령을 수정해 관세율을 재편성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 국가들은 남은 데드라인(8월 1일 23시59분)을 앞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윌버 로스 상무장관


주요 국가별 반응

캄보디아

캄보디아 국민과 경제에 좋은 소식이다” —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

훈 마넷 총리는 페이스북을 통해 캄보디아의 대미 수출품 관세율이 49% → 19%로 대폭 인하된 점을 환영했다. 그는 또한 최근 국경 분쟁을 겪은 태국과의 휴전 중재를 추진한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다.

태국

피차이 춘하와지라 태국 재무부 장관은 X(옛 트위터)에 “미·태 우호 관계를 반영한 결과”라며 19% 관세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태국 정부는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저리 대출·보조금·세제 혜택‘종합 지원책’을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대만

라이칭더(賴清德) 대만 총통은 페이스북에서 대만이 20% ‘임시 관세’를 적용받게 됐다고 밝혔다. 4월 2일 발표된 32%보다 낮아졌지만, 그는 “협상이 진전되면 추가 인하도 기대된다”고 언급했다. 라이 총통은 또한 섹션232(미국 국가안보 명분의 산업별 관세)와 공급망 협력 문제를 후속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배경 설명

1트랜스쉬프먼트(transshipment)란 제3국 항구를 거쳐 물품을 재수출하는 방식으로, 원산지 우회나 관세 회피 수단으로 자주 이용된다. 미국은 이를 겨냥해 40%의 고율 관세를 책정했다.

섹션232는 무역확장법(Trade Expansion Act of 1962) 232조로,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특정 수입품에 관세·쿼터를 부과할 수 있게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적용했던 전례가 있다.


시장 및 전문가 관전 포인트

글로벌 공급망이 이미 불안정한 상황에서, 트랜스쉬프먼트 규제 강화는 동남아 허브 항만대만·태국·캄보디아수출 경쟁력을 시험대에 올려놓을 전망이다. 관세 인하 혜택을 받은 국가는 단기적으로 수혜를 볼 수 있으나, 40% 우회 관세의 불확실성이 무역 흐름 재편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대만의 경우, 반도체·IT 부품 등 첨단 공급망 협력이 미국과 밀접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임시 관세→영구 관세 인하’로 이어질 수 있는 협상력이 중요하다. 반면 태국은 자동차·농산물, 캄보디아는 의류·신발 등 労집약적 산업이 커서 정부 지원 효과가 실제 현장에 얼마나 빠르게 전달되느냐가 관건이다.


향후 일정 및 전망

행정명령 수정안은 관보 게재 즉시 발효되며, 실무지침(Federal Register)은 최종 고시 후 15일 내 세부 규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아시아 국가들은 남은 시간 동안 품목별 예외 신청양자협상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략은 2024년 대선 레토릭과 이어져 있어, 정치·경제 이슈가 맞물린 복합 변수”라고 평가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재고 조정, 원산지 다변화, 환리스크 헤지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태국 재무장관 X게시물 캡처


결론

이번 ‘상호주의 관세’ 재조정은 단순한 숫자 변경을 넘어, 미국과 아시아 각국의 외교·경제 관계를 재정립하는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문턱은 낮아졌지만, 규칙은 더 엄격해졌다는 점에서 각국 정부와 기업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