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발(NEW YORK)—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씨티그룹(Citigroup) 최고경영자(CEO) 제인 프레이저 및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CEO 브라이언 모이니핸과 백악관에서 각각 비공개 회동을 갖고, 정부의 주택금융공사 패니메이(Fannie Mae)·프레디맥(Freddie Mac) 관련 정책을 논의했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만남은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시장 구조 개편을 가속화하려는 행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로 풀이된다. 특히 트럼프 정부는 두 기관의 재상장(IPO) 추진 의사를 재확인하면서도, 정부 보증·규제 권한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을 완전 민영화하는 동시에, 위기 상황에서의 지급보증(safety net)은 그대로 두겠다”는 것이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계자의 설명이다.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는 백악관에서 가진 이번 비공개 면담에서 구체적인 주택금융 건전성 지표와 투자수요, 그리고 민영화에 따른 자본적정성 확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같은 날 오후 브라이언 모이니핸 뱅크오브아메리카 CEO도 별도로 백악관을 찾아 비슷한 의제를 다뤘다.
패니메이·프레디맥은 무엇인가?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은 각각 1938년과 1970년 미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된 정부보증기업(GSE)이다. 이들은 시중은행 등으로부터 주택담보대출 채권(모기지)을 사들여 이를 주택저당증권(MBS)으로 재구성·판매함으로써 금융시스템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아 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부실 위험이 급격히 커지자 미 재무부는 두 기관을 보호관리(conservatorship) 체제로 전환했고, 지금까지도 사실상 반(半)국유화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상장 추진 배경과 시장 파장
트럼프 행정부는 두 GSE의 상장을 통해 약 1,00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는 공적 자금을 회수하는 동시에, 민영화를 통해 시장경쟁을 강화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정부가 신규 MBS에 대해 암묵적·명시적 지급보증을 계속 제공함으로써 30년 고정금리 모기지라는 미국식 주택금융의 근간을 유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정부 보증이 유지되는 한, MBS 스프레드는 제한적으로만 확대될 것”이라며 단기 변동성을 경계하면서도 구조적 리스크는 작다고 평가한다.
씨티그룹과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국 내 최대 모기지 발행·저당권 보유 은행으로, 이번 논의는 양 사의 자본비율, 위험가중자산(RWA), 은행권 유동성 규제 등에도 직접적인 함의가 있다.
백악관은 공식 논평을 거부
이번 회동은 백악관 일정표에는 공개되지 않았다. 백악관 대변인은 “사적 면담에 대해 논평하지 않는다”며 상세 확인을 피했고, 양 은행 또한 “CEO 일정에 관해 언급할 수 없다”고만 밝혔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두 CEO가 순차적으로 백악관을 찾았다는 사실 자체가 ‘상장 가속 시그널’로 해석되고 있다.
전문가 진단
월가의 한 MBS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패니·프레디가 상장되면 자본확충이 가능해져 시스템 리스크가 완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주식시장 불확실성, 금리 사이클, 정치적 변수 등이 맞물리면 공모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재선 가도와 연계돼 정책 추진 속도가 가변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모기지 금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역시 관건이다. 현재 시장은 장·단기 금리역전 여부, 그리고 주택담보대출 수요를 좌우할 소득·물가 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자 시각
패니메이·프레디맥 문제는 단순한 민영화 이슈를 넘어 미국 주택소비자, 은행권, 채권시장 모두와 직결된 구조적 사안이다. 상장이 성사될 경우, 미국 정부의 암묵적 보증이 어느 수준까지 인정될지에 따라 글로벌 MBS 시장 가격 구조가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달러자산 다변화 차원에서 미 주택저당증권 투자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두 은행 수장을 불러들인 것은 정치적 이벤트 이상의 실질적 정책 준비 단계로 풀이된다. 향후 의회 청문회 일정, 증권거래위원회(SEC) 심사, 공모가 산정 절차 등이 본격화될 경우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