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저녁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reciparocal) 관세를 자정부터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무역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그의 장기적 공약의 일환이다.
2025년 8월 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지난주 15%에서 최대 50%에 이르는 관세 정책의 윤곽을 제시한 바 있다. 협상이 진행 중인 국가가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해당 세율을 예고한 일정대로 단행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서 다음과 같은 전면적인 경고문을 남겼다.
“RECIPROCAL TARIFFS TAKE EFFECT AT MIDNIGHT TONIGHT! BILLIONS OF DOLLARS, LARGELY FROM COUNTRIES THAT HAVE TAKEN ADVANTAGE OF THE UNITED STATES FOR MANY YEARS, LAUGHING ALL THE WAY, WILL START FLOWING INTO THE USA.”
구체적으로 보면 브라질과 인도가 각각 약 50%로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는다. 반면 일본·대한민국·유럽연합(EU)은 워싱턴과 타결한 무역 합의 덕분에 15%의 관세만 부과된다.
캐나다에는 35%의 관세가 매겨지며, 멕시코는 협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얻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멕시코가 이 기간 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동일한 고율 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다.
7일(목)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인도산 제품 전체에 대해 누적 50% 관세를 확정했다. 브라질에 대해서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부당한 사법 처리”를 문제 삼아 보복성 관세를 가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같은 날 그는 반도체(semiconductor) 전 품목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추가 발표했지만, 미국 내 생산설비 구축 계획을 공식적으로 약속한 기업은 면제 대상에 포함했다.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란 무엇인가
상호 관세란 상대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을 미국이 역으로 부과하는 제도다. 즉, 무역 상대국의 관세 정책을 그대로 반영해 미국 상품에 대한 차별을 상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상 조치와 유사한 맥락을 가진다.
시장·산업에 미칠 파장
무역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에 즉각적인 변동성을 야기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반도체 분야의 100% 관세는 미국 외 생산 공장을 보유한 아시아·유럽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크게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미국 내 공장 투자 계획을 발표했거나 이미 가동 중인 기업은 단기간 내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기회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소비자 가격(CPI) 상승 압력도 배제하기 어렵다. 브라질·인도산 농산물, 캐나다산 원자재, 일본·한국산 소비재 가격이 상승하면 최종재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연준(Fed)의 통화정책 경로에도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트럼프 행정부 특유의 협상 전술”이라는 점을 들어, 관세가 실제 장기화하지 않고 빠른 시일 내 재협상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자정(0시) 발효가 기정사실화된 만큼, 각국 정부·기업은 관세 대응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