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미국 정부–하버드대 합의 마무리” 선언

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Oval Office·대통령 집무실)에서 행정명령 서명식을 주재하던 중 “오늘 하버드대학교와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2025년 9월 30일, 로이터통신(Reuters)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엑세큐티브 오더(행정명령) 서명 직전 교육부 장관 린다 맥마흔(Linda McMahon)에게 “이제 서류 작업만 잘하면 된다”며 합의 사실을 거듭 확인했다. 이에 대해 맥마흔 장관은 “알겠습니다, 각하”라고 답했다.

이번 ‘합의’ 발표의 맥락*1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나, 최근 수개월간 연방 정부와 하버드대 간 협상이 이어져 왔다는 점에서 대학 재정 지원·세제 혜택·규제 완화 등 복합적 사안이 얽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들어 고등교육기관의 투명성·재정 운용·연구 윤리 등을 집중 점검해 왔고, 하버드대 역시 정부와의 정책 조율에 적극 나섰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목

주요 인물·용어 해설

오벌오피스(Oval Office)는 미국 백악관 웨스트윙에 위치한 대통령 집무실로, 주요 정책 발표·외교 행사·행정명령 서명식이 이곳에서 이뤄진다.

린다 맥마흔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Educating Secretary’로 소개됐으나, 일반적으로는 Education Secretary(교육부 장관) 직함으로 통한다. 전(前) 프로레슬링 단체 WWE의 공동 창업자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전문가 시각 및 파급 효과

이번 합의가 실제로 연방 자금 배분·학생 재정 지원·연구 인프라 투자 등에서 하버드대에 유리하게 작용할 경우, 아이비리그(Ivy League) 내 다른 명문대와의 정책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또한 노동비자·유학생 규정·산학협력 인센티브 등 연방 차원의 교육 정책이 수정된다면, 미국 내 유학생 100만 명 규모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하버드와의 합의’를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2026년 대선을 겨냥한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는 견해가 나온다. 정치 컨설턴트들은 “대학 개혁을 통해 ‘엘리트주의에 맞선다’는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반면 교육계는 연방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학문적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투자·재정 관점에서도 관심이 쏠린다. 하버드대는 420억 달러(약 57조 원) 규모의 세계 최대 대학 기금을 운용 중이며, 이번 합의 내용에 따라 세제 혜택 확대가 현실화될 경우 기금 수익률이 추가로 개선될 여지가 있다. 월가(Wall Street) 펀드매니저들은 “대학 엔다우먼트펀드가 ESG, 바이오테크, AI 스타트업 등에 공격적으로 투자할 가능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평가한다.


향후 일정 및 변수

트럼프 행정부는 합의 세부 조항을 ‘수주 내’ 공식 문서화할 계획이다. 백악관은 아직 법률 검토·예산 배정·의회 보고 절차를 완료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최종 발표가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하버드대 측 역시 “공식 서류가 마련되는 대로 입장을 내놓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주목

한편, 미 교육부 관계자들은 “이번 사례가 스탠퍼드·예일·MIT 등 다른 연구중심대학에도 선례를 제공할 것”이라며 연쇄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2025~2026년 미국 고등교육 정책 지형이 급변할 전망이다.

※취재·번역: AI 저널리스트. 본 기사는 원문 로이터 보도 내용을 토대로 작성됐으며, 추가적인 시장 분석과 전망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