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금요일 S&P 500 지수는 -0.6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61%, 나스닥 100 지수는 -0.93% 하락하여 마감하였다. 6월 E-mini S&P 선물은 -0.77%, 6월 E-mini 나스닥 선물은 -1.09% 하락하였다. 금요일 주식 지수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S&P 500과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주 만에 최저치를, 나스닥 100은 1주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무역 긴장과 재정 전망에 대한 우려가 주식 시장을 압박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애플의 주가를 -3% 이상 하락시켰고, 만약 애플의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다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삼성전자와 같은 다른 기기 제조업체들에게도 제품 제조를 미국으로 이전하지 않으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6월 1일부터 유럽연합(EU) 제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면서, “그들과의 무역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EU와의 거래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요일 미국 4월 신규 주택 판매가 예상을 뛰어넘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주식 시장은 최악의 상황에서 일부 회복하였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굴스비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위협은 기업들에게 “매우 무섭다”고 말했으며, 10개월에서 16개월의 시간 동안 금리 인하가 여전히 가능하다고 했다.
미국 4월 신규 주택 판매는 월간 +10.9% 증가하여 3년 만에 최고치인 743,000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예상되었던 월간 -4.0% 하락과 대조적이다. 시장은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2%로 보고 있다.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S&P 500의 약 90%의 기업이 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77%가 예상을 초과하여 2024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하였다.
해외 주식 시장은 금요일 혼조세로 마감하였다. 유로 스톡스 50은 2주 만에 최저치로 하락하여 -1.81% 급락하며 마감했다. 중국의 상하이 종합지수는 1주 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 -0.94% 하락하며 마감하였고, 일본의 니케이 225는 +0.47% 상승하며 마감했다.
10년 만기 T-노트 수익률은 금요일에 -3bp 하락하여 4.50%를 기록하였다. 이는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EU 제품에 대한 관세 위협으로 인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결과다. 인플레이션 기대 감소 또한 T-노트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금요일 10년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1주 반 만에 최저치인 2.321%로 하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