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이글(American Eagle) 주가가 4일(월) 장중 15% 이상 치솟았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배우 시드니 스위니(Sydney Sweeney)가 등장한 마케팅 캠페인을 극찬한 직후 나타난 급등세다.
2025년 8월 4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스위니가 참여한 광고를 “가장 뜨거운(HOTTEST) 광고”라고 표현하며 극찬했다. 그는 "Sydney Sweeney, a registered Republican, has the ‘HOTTEST’ ad out there. It’s for American Eagle, and the jeans are ‘flying off the shelves.’ Go get ’em Sydney!"라며 직접적인 홍보 메시지까지 남겼다.
트럼프의 글이 올라온 뒤 불과 몇 분 만에 AEO 티커로 알려진 아메리칸이글 아웃피터스(American Eagle Outfitters) 주가는 장중 15% 이상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됐다. 동부표준시(ET) 오전 11시 직전에도 주가는 여전히 15% 넘는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드니 스위니 효과’의 전말
아메리칸이글은 7월 말 HBO 시리즈 ‘유포리아(Euphoria)’의 주연 배우 시드니 스위니를 2025년 가을 캠페인의 얼굴로 기용한다고 발표하며 “Sydney Sweeney has great jeans”라는 슬로건을 공개했다. 해당 발표 직후 주가는
‘밈 주식(meme stock) 매니아’①
현상 속에 급등했으나, 이후 1주일 동안 캠페인이 성(性)차별적이고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이 이어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선 바 있다.
①‘밈 주식(meme stock)’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유머·밈으로 확산돼 개인투자자들의 집중 매수세가 일어나는 종목을 뜻한다. 2021년 게임스톱 사태 이후 대표적 투자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트럼프의 SNS 발언이 새로운 촉매제로 작용하면서 주가는 다시 반등했다. 특히 트럼프가 스위니를 “공화당 등록 유권자”라고 명시한 점이 정치 성향이 다른 소비자·투자자들에게도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중 누적 성적표는 ‘부진’
주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2025년 8월 1일 종가 기준 아메리칸이글 주가는 연초 대비 27% 넘게 하락한 상태다. 회사는 관세 부담, 소비 지출 둔화, 자체 상품 구성 오류 등 거시적·내부적 요인에 동시에 직면해 있다.
올해 5월, 아메리칸이글은 봄·여름 시즌 재고를 대거 할인 판매하면서 7,500만 달러(약 1,010억 원) 규모의 감액손실(write-down)을 인식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연간 가이던스를 철회하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웠다.
회사 측이 5월 공개한 2분기 실적 전망에 따르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 기존점포 매출은 3% 감소, 총마진은 하락이 예상된다. 2분기 영업이익 역시 4,000만~4,500만 달러 범위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 시각 및 향후 관전 포인트
시장 전문가들은 ‘셀럽 마케팅’과 정치적 언급이 단기 주가 변동성을 키우는 양날의 검이라고 지적한다. 스위니 캠페인이 실제 판매로 이어질 경우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겠지만, 정치적 양극화 속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장기적으로 훼손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트럼프의 영향력은 공화당 지지층을 중심으로 여전하다는 점에서 ‘트럼프 트래픽’이 온라인·오프라인 매장 유입으로 구체화될지 주목된다. 다만 광고가 남성 시각 중심이라는 비판이 계속될 경우 밀레니얼·Z세대 소비자의 반발이 매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현재로선 ‘시드니 스위니 캠페인’의 실질적 판매 기여도가 3분기 실적 발표 전까지 가시화되기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결국 브랜드 리포지셔닝 전략과 할인 의존도 축소 여부가 향후 주가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꼽힌다.
트럼프의 SNS 한마디로 촉발된 이번 주가 급등은 정치와 금융시장, 대중문화가 교차하는 독특한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광고 효과가 실제 매출 회복으로 이어질지, 혹은 일시적 ‘밈’ 현상으로 그칠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