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일본·한국·말레이시아·태국·남아공 등 14개국 제품에 일괄 25% 관세(상호주의 관세 포함)를 예고했다. 2018~2020년 1차 무역전쟁 이후 잠복했던 ‘관세 폭탄’이 재점화되면서, 미국 경제·증시에 1) 인플레이션 경로, 2) 공급망 재배치, 3) 통화·재정 정책 세 축을 근본적으로 흔드는 장기 변수가 등장했다. 본 칼럼은 향후 최소 1년 이상 작동할 장기베어·장기불 시나리오를 가정해 관세가 미국 주식·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를 정리한다.
Ⅰ. 관세 정책의 구조—왜 ‘전면 25%’인가?
- 정치‧재정 논리 : 트럼프는 재선 국면에서 제조업·중서부 노동자 지지층 결집을 노린다. 대규모 재정적자(연 2조 달러)를 관세 수입으로 보전하겠다는 메시지다.
- 상호주의(recipient parity) : 상대국 평균 관세율에 맞추는 방식이라지만, 실제론 글로벌 다자무역 체계를 우회하려는 ‘행정 명령’ 성격이 강하다.
- 시간표 : 90일 유예 후 발효. 11월 대선 이전 첫 인보이스가 통관 단계에 들어간다는 점이 포인트다. 기업 실적엔 3분기 말부터 반영 가능하다.
Ⅱ. 거시 경제 파급: 3단 충격
1) 물가·금리
뉴욕 연은 SCE가 6월 발표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로 하락했지만, 관세 부과 시 +0.4~0.7%p 반등이 불가피하다. 25% 관세의 소비자전가율을 30%로 가정할 경우, 헤드라인 CPI는 2025년 4분기 3.5%까지 재상승이 가능하다. 이는 연준의 9월·12월 25bp 인하설을 뒤흔들 변수다.
2) 공급망·기업 마진
실제 2018~19년 무역전쟁 당시 S&P 500 영업이익률은 11.2%→10.1%로 1.1%p 축소됐다. 이번엔 관세 범위가 더 넓고, 중국+아시아 동맹국을 동시에 겨냥한다는 점이 다르다. 전자·자동차·태양광 3대 밸류체인은 멕시코·베트남·중동으로 우회 이전 시 영향을 최소 12~18개월에 걸쳐 반영한다.
3) 달러화·국채
무역적자 축소→달러 강세 논리는 과거와 달리 힘이 약하다. 관세발 물가상승→실질금리 하락→달러 약세→해외 투자자 미 국채 수요 둔화라는 역방향이 가능하다. 10년물 금리 상단을 4.75%로 상향 조정한다.
Ⅲ. 섹터별 손익지도—누가 웃고 누가 우나
섹터 | 1년 예상 EPS △ | 마진 압박 요인 | 대응 시나리오 |
---|---|---|---|
반도체(메모리) | -6%p | HBM·서버DRAM 관세) | 생산 기지 美·베트남 이원화 |
태양광(Domestic) | +4%p | 중국·한·일 제품가격 상승 | IRA 세액공제 + 가격 전가 |
소매·의류 | -3%p | 의류·가방 관세 | 브랜드 파워 없는 기업 직격탄 |
산업용 로봇 | +1.5%p | 자동화 투자 촉진 | ABB·록웰오토메이션 수혜 |
Ⅳ. 주가 밸류에이션 시나리오
베이스 : 25% 관세 전면 시행, Fed 인하 1회 지연
→2026E S&P 500 EPS 300달러(컨센서스 315 대비 -5%), 목표 PER 20배(금리상승 반영), 지수 6,000p.
불리한 경우 : 중국·EU 보복 관세+금리 동결→EPS -10%, PER 18배, 5,200p 가능.
낙관 : 관세 협상 단계적 완화·인플레 둔화→EPS -2%, PER 22배, 6,600p.
Ⅴ. 투자 포트폴리오 전략—이중 회귀(回帰) 포트폴리오
- 관세 수혜주(리쇼어링) : 데이터센터 전력·냉각(VRT, CARR), 국내 태양광 인버터(ENPH).
- 내수 방어주 : 디비던드 애리스토크랫 중 유틸리티(DUK), 생활필수 소비재(COST).
- 관세 회피 공급망 ETF : MXI(멕시코), VNM(베트남) 비중 확대.
- 롱 달러/숏 개별 이머징 통화 :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자본 유출을 헷지.
Ⅵ. 연준·의회·기업 컨콜 체크리스트
• 7/31 FOMC 의사록 : “관세발 인플레” 문구 유무.
• 8/1 관세 발효 직후 3분기 가이던스(애플, 나이키 등).
• 9월 연준 SEP : 장기물가 전망 상향 시 달러 변동성 확대.
• 11월 대선 불확실성 : Blue sweep/Red sweep별 재정·관세 시나리오.
Ⅶ. 결론—미국 자본시장의 ‘뉴 패러다임’
관세는 단순히 무역 흐름만이 아니라 가격 구조·공급망·통화 정책을 동시에 재편한다. 과거 1970년대 오일쇼크가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신어를 낳았듯, 2025년 관세는 ‘폴리플레이션(Policyflation)’—정치적 요인으로 유발된 물가—을 고착화할 잠재력이 있다. 투자자는 성장주 몰빵 구도를 지양하고, 리쇼어링+내수+배당이라는 3중 안전판을 갖춘 포트폴리오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 앞으로 12~24개월은 공급망과 기술 국지 패권이 주가를 결정짓는 핵심 척도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