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상호주의 관세’ 시대, 미국 증시와 거시경제에 남길 장기 상흔

서론: “90일 유예”의 끝, 패러다임 전환의 시작

2025년 7월 9일 새벽 0시(ET)가 오면, 3개월간 잠시 꺼졌던 관세 시계가 다시 작동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9일 서명한 ‘상호주의 관세’ 행정명령의 임시 10% 인하가 만료되면, 국가는 물론 섹터별로 20‧40‧60% 구간의 고율 관세가 원복 – 혹은 인상 – 될 수 있다. 백악관은 “날짜 연장은 대통령 고유 재량”이라며 모호성을 남겼지만, 명령 자체를 수정하지 않는 한 90일 시한은 하드코딩되어 있다. 이 글은 ①트럼프식 관세 프레임의 구조적 특징, ②장기 물가‧성장‧달러 사이클에 미칠 파급, ③증시·섹터별 득실, ④투자자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재편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Ⅰ. ‘상호주의 관세’의 메커니즘과 2025년판 무역지형

1. 행정명령 14089-A 요약

  • 모든 교역 상대국을 ①동맹(10%), ②부분 동맹(20%), ③전략 경쟁국(40%), ④불공정 무역국(60%) 네 구간으로 분류.
  • 각 구간은 취소선 없는 실효세율이며, 유예·감면은 대통령 고시가 있는 경우에 한함.
  • 관세 부과 대상은 상품뿐 아니라 디지털 서비스·지식재산 로열티까지 확대.

2. 90일 유예기간의 성과와 한계

국가 협상 형태 현황(7/4) 관세 레벨
중국 한정적 합의(Framework) 10%→8%로 소폭 인하 부분 동맹
EU 협상 교착 “원칙적 합의”조차 불발 20%~60% 위험
인도 FTA 막판 조율 GMO 곡물·의약품 쟁점 10% 유지 가닥
캐나다 협상 종료 선언(7/4) 관세 재부과 예고 20%+

무역 합의를 ‘빅딜’이 아니라 국가별 미니딜로 쪼개 교섭력을 극대화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EU·캐나다처럼 협상력이 대등한 파트너와는 일정이 미끄러지는 악순환이 반복 중이다.


Ⅱ. 거시경제 3D 충격파: 물가·성장·달러

1. 물가: ING의 ‘여름 인플레 급등’ 시나리오

ING는 관세가 반영되기까지 3~4개월 시차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이미 5월 PCE 근원 인플레이션은 연 2.7%로 반등했다. 만약 20% 관세가 7월 중순부터 단계적으로 부활하면, 9~10월 CPI가 3%대를 다시 상회할 확률이 60%에 달한다는 것이 베이스라인 전망이다.

2. 성장: ‘재고 버퍼’ 소진이 촉발할 경기 모멘텀 훼손

기업들은 관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재고를 선적해 두었지만, 정부 통계(도매·소매 재고율)가 5월 이후 하락 반전을 나타낸다. 재고 사이클이 짧아진 가운데 추가 관세가 현실화되면 Q4 GDP 기여도 –0.8%p 하락이 예상된다.

3. 달러지수(DXY): ‘트럼프 vs. 연준’의 갈등 프리미엄

트럼프 대통령은 3%p 즉각 인하를 요구하지만, 파월 의장은 “관세발 인플레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월가에선 7월 인하 확률이 25%로 후퇴했고, 9월 한 차례 인하→12월 미룰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결과 달러가치가 3월 고점 대비 4% 반등, 달러 강세→신흥국 자본유출 가능성이 재점화되고 있다.


Ⅲ. 주식시장 구조분석: 섹터별 득실

1. 피해가 집중될 영역

  • 소비재(어패럴·신발·완구) – 중국·베트남 의존형 밸류체인을 보유, 관세 원가 전가 어려움.
  • 자동차·부품 – EU산 완성차/부품에 40~60% 부과 시, 美 OEM도 부품 원가 급등.
  • 리테일·운송 – 머천다이즈 믹스 다변화로 인한 물류 비용 증가 + 재고 리스킹 비용.

2. 상대적 수혜 업종

  • 헬스케어·바이오 – 관세 영향이 미미, 인구구조·정책 추세가 성장 견인.
  • 유틸리티·인프라 –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급+리쇼어링 시설투자 확대.
  • 방위산업·사이버보안 – 지정학 긴장 고조에 따른 예산 수혜.

3. 동일가중 ETF & ‘리리스크’ 포트폴리오 적용

존 데이비 CEO가 추천한 Invesco S&P 500 Equal Weight Industrials ETF(RSPN)는 시가총액 편중을 완화해 관세 충격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BNY 멜론 글로벌 인프라 ETF(BKGI)Astoria Real Asset ETF(PPI)로 균형을 마련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Ⅳ. 장기전으로 본다면: 3단계 투자전략 로드맵

Step 1 — Shock Absorber: 2025 Q3 ~ Q4

  1. 원가 전가가 불가피한 소비재·소매 비중 10% 이하로 축소.
  2. 포트폴리오 변동성(Vol) 목표치를 10→12로 상향, 즉 20% 하락 시 현금 비중 15%까지 방어.
  3. FRN(변동금리채)·재무부 단기물 ETF(JPST, BIL) 편입 유지.

Step 2 — Re-Risk: 2026 상반기

  1. 관세·인플레 1차 쇼크가 CPI에 모두 반영됐다고 판단될 때, 동일가중 산업·유틸리티 ETF 편입 확대.
  2. BBB-이상 하이일드 회사채(BBHY) 및 AAA CLO ETF(JAAA)로 크레딧 채권 스프레드 공략.
  3. ‘AI Capex → 전력/냉각/네트워킹 파이프라인’에 직접 노출된 중소형주(Vertiv, Arista Networks) 위주로 바텀업.

Step 3 — Secular Growth Harvest: 2027~2028

  1. 리쇼어링·친환경 법안 공백으로 인해 탄소집약 산업 탈탄소化 지연. 국채금리 안정 시, 친환경 ETF 재진입.
  2. 애플(AAPL)·MS·GOOGL 등 자사주 매입 가속 기업은 관세 비용을 압도하는 FCF 창출 가능.
  3. 미국·멕시코·캐나다 3국 공급사슬을 활용하는 ‘라틴 아메리카 니어쇼어링’ 테마 ETF(ILF 등) 편입.

Ⅴ. 리스크 체크리스트: 투자자가 점검해야 할 5가지 변수

  • ① 인플레 경로 – 10월 CPI 헤드라인이 3.0%를 넘을 경우, 12월 FOMC 인하 지연.
  • ② 달러 인덱스 – 105 상단 돌파 시 신흥국 자본 유출·통화스와프 확대 가능.
  • ③ 실업률 vs. ADP 격차 – 민간 고용 위축이 BLS에 전이되면 경기 침체 리스크 재평가.
  • ④ 유럽·인도 협상 – 20~60% 관세 현실화 시 글로벌 공급망 탈 미국·탈 달러 결제 가속.
  • ⑤ 대선 레토릭 – 트럼프·민주당 후보 모두 주요 공약에서 ‘경제/무역/소비자 물가’ 비중 확대.

Ⅵ. 결론: “관세는 세금이며, 세금은 기업·가정 현금흐름을 빨아들인다”

트럼프발 상호주의 관세는 단순 보호무역 조치를 넘어 국가별·산업별 벌크헤드(격벽)를 세우는 ‘무역 냉전 2.0’ 서막이 될 수 있다. 물가는 관세를 따라 올라가지만 실질 임금은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연준이 완화‧긴축 두 카드 모두 애매하게 만드는 Stag-Inflation Sandwich 구조를 낳는다.

따라서 투자자는 ①단기 변동성을 이겨낼 완충재(현금·변동금리채)를 배치하고, ②관세 수혜 연관 산업(인프라·유틸리티·방산·AI Capex)으로 리스크 재할당(Re-risk), ③개별 기업 실적·현금흐름 검증을 통해 오버웨이트/언더웨이트 구간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관세는 세금”이라는 사실이 불변인 한, 투자의 본질은 세후 현금흐름 수렴의 승자를 선점하는 데 있다.

– 작성자: 이중석 (경제 칼럼니스트·데이터 애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