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센트, 3분기 매출 15% 급증…AI가 광고·게임 성과 견인

텐센트(Tencent)전년 대비 15% 증가한 분기 매출을 발표했다. 회사는 광고 타기팅게임 부문에서의 AI 활용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중국 빅테크의 AI 전환이 실질적 수익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5년 11월 13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텐센트의 2025년 3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매출은 1,929억 중국 위안(미화 271억 2,000만 달러)로, LSEG 집계 기준 애널리스트 예상치 1,892억 위안을 넘어섰다. 영업이익은 636억 위안으로, 시장 예상치 580.1억 위안을 상회했다.

회사는 광고와 게임에서의 AI 기반 효율화가 성과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주목

AI·클라우드 전략과 해외 확장 측면에서, 텐센트는 올해 초 자본적 지출(설비투자)을 늘리며 AI 인프라를 확충했고, 유럽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확대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구글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등 글로벌 선도 사업자들과의 경쟁을 염두에 둔 행보다. 텐센트는 중국 내 독자 AI 기초 모델 ‘Hunyuan’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서는 DeepSeek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가 측면에서, 텐센트 연초 대비(YTD연초 이후) 주가 상승률은 56.7%를 기록 중이다. 이는 AI 전환과 광고·게임 사업의 회복 기대가 투자 심리에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속보 발표에 따르면, 본 기사는 업데이트가 예정된 브레이킹 뉴스다. 독자들은 변동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새로고침이 필요하다.


핵심 수치 정리원문 기준

주목

매출: 1,929억 위안(US$ 271억 2,000만) — LSEG 집계 컨센서스 1,892억 위안 상회
영업이익: 636억 위안 — 시장 예상 580.1억 위안 상회
주가: 연초 대비 56.7% 상승


배경 및 용어 설명

LSEG: 런던증권거래소그룹(London Stock Exchange Group)의 약자로, 애널리스트 전망치·데이터를 집계해 시장 컨센서스를 제공한다.
영업이익: 매출에서 판매·관리비 등 영업활동 관련 비용을 제외하고 남는 이익으로, 기업의 본업 수익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자본적 지출(설비투자): 데이터센터, 서버, 네트워크 등 장기 성장·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 비용이다. AI 모델 학습·추론 인프라 확충 과정에서 규모가 커지기 마련이다.
AI 기초(기반) 모델(Foundational Model): 대규모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범용 AI 모델로, 다양한 업무에 파인튜닝해 적용 가능하다. 텐센트의 Hunyuan이 이에 해당한다.
DeepSeek: 텐센트가 일부 제품에 병행 활용하고 있다고 밝힌 AI 모델로, 구체적 성능·적용 범위 등은 제품별로 다를 수 있다.
광고 타기팅: AI로 사용자 특성을 분석해 광고 노출·성과를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연초 대비(YTD): 해당 연도의 첫 거래일 이후 현재까지의 누적 성과를 뜻한다.


분석과 시사점

첫째, 매출 15% 성장과 컨센서스 상회는 텐센트의 광고·게임 부문에서의 AI 효율화가 수익화 단계에 진입했음을 보여준다. 광고에서는 타기팅 정밀도 향상과 캠페인 성과 최적화, 게임에서는 콘텐츠 추천·운영 자동화 등이 직접적인 지렛대가 될 수 있다.

둘째,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인프라에 대한 설비투자 확대는 장기 성장 기반을 강화한다. 특히 유럽 시장 확장은 규제·데이터 주권 이슈를 동반하는 만큼, 현지화된 클라우드 서비스경쟁사(AWS·Google Cloud·Azure) 대비 차별화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셋째, 독자 모델 HunyuanDeepSeek병행 활용은 서비스별 최적 모델을 선택해 성능·비용 효율을 조정하는 유연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자체 역량을 강화하면서도 외부 생태계를 활용하는 멀티모델 전략은 제품 출시 속도와 품질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넷째, 연초 대비 주가 56.7% 상승은 투자자 신뢰 회복의 신호다. 다만 주가 변동성은 향후 광고 수요 사이클, 게임 라인업 성과, 해외 클라우드 확장의 실행력에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


정리

텐센트는 AI 기반의 광고·게임 경쟁력클라우드·모델 역량(Hunyuan·DeepSeek)을 앞세워 3분기 매출 15% 성장영업이익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유럽 클라우드 확장 등 중장기 성장 전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광고 수요와 게임 성과, 장기적으로는 클라우드·AI 인프라 운용 효율이 실적의 핵심 변수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