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Tesla)가 중국 내 전기차 업체들의 고속도로 주행보조 기술(ADAS)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경쟁사를 앞섰다.
2025년 7월 25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의 자동차 플랫폼 Dcar가 중국 국영방송 CCTV와 공동으로 실시한 레벨2 고급 주행보조 시스템(ADAS) 테스트에서 테슬라가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시험 개요
이번 평가는 중국 시장에 출시된 전기차 20여 개 브랜드, 총 36개 모델을 대상으로 고속도로 및 도심 교통에서 사고 위험이 높은 여섯 가지 시나리오를 적용해 진행됐다. 테슬라 모델 3와 모델 X는 여섯 가지 중 다섯 가지 상황을 통과했으며, BYD의 덴자 Z9GT와 화웨이가 지원하는 Aito M9는 세 가지 상황에서 실패했다. 샤오미 SU7은 한 가지 상황만 통과해 최저점을 기록했다.
중국 업체 반응과 논란
화웨이 주도 HIMA(자동차 연합)는 25일 웨이보에 “이른바 시험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BYD와 샤오미는 논평 요청에 즉각 답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중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주행보조 기술 수준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확산됐다.
머스크, 데이터 장벽 지적
일론 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 “중국의 데이터 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현지 학습 데이터 없이 최고 성적을 냈다”고 강조했다. 테슬라는 상하이에 저장된 주행 데이터를 미국으로 전송해 알고리즘을 학습하고자 하나, 미·중 규제로 난관에 부딪혀 있다.
Wang Yao 중국자동차공업협회 부총공정사는 상하이 자동차 포럼에서 “국내 브랜드는 자율주행 분야에서 테슬라와의 격차를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쟁사 전략 변화
샤오미 최고경영자 레이쥔은 미국 텍사스 오스틴 공장에서 주문자에게 30분 만에 스스로 주행해 전달된 모델 Y 사례를 언급하며 “테슬라로부터 계속 배울 것”이라고 밝혔다. 샤오미 SU7이 3월 고속도로 사고로 3명이 사망한 뒤 예약 취소가 급증했으나, 최근 출시한 신형 전기 SUV는 초기 주문이 급증해 충격을 일부 회복했다.
규제·마케팅 이슈
중국 당국은 “스마트 주행” 등 표현을 금지하며 과장 광고를 규제하고 있다. 공안부는 이번 주 발표에서 “진정한 자율주행이 구현되기 전까지 운전자가 주행보조 기능 사용 중 주의를 소홀히 하면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ADAS란?
Advanced Driving Assistance System은 카메라·레이더·라이다 등 센서를 활용해 운전자의 조향·가감속을 보조하는 기술이다. 레벨2는 제한적 조건에서 차량이 조작을 수행하지만 운전자가 상시 개입할 준비를 해야 한다.완전 자율주행은 레벨4~5
센서 구조 차이
테슬라는 비전(Vision) 전략으로 불리는 카메라·AI 기반 접근법만 채택한다. 반면 BYD·샤오미·화웨이 등 중국 업체는 라이다(LiDAR)를 추가해 거리·깊이를 정밀 측정한다. 라이다는 빛을 방사해 되돌아오는 신호를 받는 방식으로, 악천후나 야간 감지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가 있다.
가격 경쟁
테슬라의 주행보조 패키지 Full Self-Driving(FSD)은 중국에서 약 9,000달러(환율 1달러=7.1624위안 기준 약 6만4,000위안)에 판매된다. 반면 중국 업체는 ADAS 기능을 기본사양으로 제공해 가격 부담을 낮추고 있다.
판매 동향
테슬라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된 전기차 판매량은 6월 전년 대비 0.8% 증가해 8개월 연속 감소세를 끊었으나, 분기 누계로는 여전히 감소했다. 반면 중국 업체들은 저가 신모델을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운전자가 ADAS 사용 중 주의를 소홀히 하면 법적 위험에 직면한다” – 중국 공안부
시장 전망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의 규제 명확화가 테슬라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카메라 기반 알고리즘 최적화를 지속한다면 가격 경쟁력을 보완할 수 있다는 분석이지만, 현지 데이터 반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기술 고도화 속도에 제약이 따를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