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인도 첫 쇼룸 개장…세계 3위 자동차 시장 공략 본격화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TSLA)가 인도 금융 중심지 뭄바이에서 첫 번째 쇼룸을 열며 현지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이번 진출은 매우 잠재력이 크지만 규제 장벽이 높은 인도 자동차 시장을 겨냥한 신중하면서도 계산된 행보로 평가된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뭄바이 남부의 고급 쇼핑몰 내부에 ‘Tesla Experience Center’가 모습을 드러냈다. 현재 전시·판매되는 차량은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완성된 신형 모델 Y 한 종뿐이다. 그러나 가격 책정은 쉽지 않다. *모델 Y 후륜 구동 기본형의 현지 판매가는 610만 루피(약 7만 달러)로, 미국 내 가격 4만 4,900달러 대비 두 배 가까이 높다. 이는 거의 100%에 달하는 인도 수입 관세가 그대로 전가되기 때문이다.

애널리스트들은 높은 차량 가격인도 국민의 평균 연소득(약 4,000달러) 사이의 괴리를 들어 초기 판매량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한다. 실제로 인도는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이지만, 전기차 비중은 전체 판매량의 4% 수준에 머물러 있다.


장기적 기회 요인 — 인구·소득 구조 변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 전망은 밝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50년 인도 인구가 17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면서 중국의 감소세와 대비된 성장세를 지목했다. 인도 경제정책 싱크탱크 PRICE2030년까지 부유층 가구 2,500만, 중산층 가구 7,500만이 형성돼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다.

OECD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38개 회원국이 가입해 있는 국제기구로, 각종 거시경제 지표와 전망을 발표한다. 다수 기업과 정부가 정책 결정을 할 때 이 보고서를 참고한다.

가격 장벽을 해소하고 인도 보호무역 정책을 우회할 수 있다면, 이러한 인구·소득 구조 변화는 고급 자동차 수요 확대를 의미한다. 인도 정부는 높은 관세를 통해 해외 업체를 현지 생산으로 유도해 왔다. 최근 양국 통상 회담을 위해 인도 통상대표단이 워싱턴을 방문했으며, 이는 관세 완화 또는 투자 인센티브 논의와도 맞물려 있다.


‘메이드 인 인디아’ 압박과 테슬라의 선택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인도 내수뿐 아니라 수출을 염두에 둔 공장 설립”

을 제안한 바 있다. 다만 최근 테슬라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응해 AI·자율주행 기술로 연구 개발(R&D) 투자 비중을 확대하는 중이다. 이에 따라 R&D 센터를 먼저 세운 뒤 단계적으로 완성차 공장까지 확대하는 절충안이 거론된다.

*R&D(Research and Development)는 신기술·신제품 연구 및 개발을 뜻한다. 전자·자동차 산업에서는 제품 차별화의 핵심 단계다.


핵심 인물 발언 및 정치적 배경

데벤드라 파드나비스 마하라슈트라주 수석장관은 인터뷰에서

“향후 인도에서 R&D와 제조가 이뤄지길 바라며, 적절한 시점에 테슬라가 그 방향을 검토할 것”

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워싱턴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나 규제 개선 필요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디 총리는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와 제조업 강화를 위한 규제 개혁을 추진 중이며, 테슬라가 그 선례가 될 가능성이 크다.

마하라슈트라주는 뭄바이가 속한 서부 핵심 공업 지역으로, 인도 GDP의 약 15%를 차지한다. 주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세제 혜택과 토지 인프라 지원은 테슬라의 투자 결정을 앞당길 촉매제로 평가된다.


향후 과제와 전망

결과적으로 테슬라의 인도 진출은 고가 정책, 보호무역, 제조 유치 압력 등 다층적 난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거대 인구 규모와 성장하는 중산층을 고려할 때, 전략적·점진적 투자를 통해 장기적 결실을 거둘 가능성도 크다. 업계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현지화 속도가 관세 인하, 인프라 구축 및 전기차 충전 생태계 조성 정책과 맞물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로서는 연간 판매량이 미미할 수밖에 없지만, 제조 공장 및 R&D 센터 설립 논의가 진전된다면 ‘로컬 생산 → 가격 인하 → 판매 확대’라는 선순환 구조가 작동할 수 있다. 테슬라가 인도의 거대한 시장 잠재력을 실질적 성과로 전환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