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샌프란시스코 — 테슬라(NASDAQ:TSLA)가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일대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robotaxi) 시범 서비스를 이번 주말부터 선보일 전망이다. 이번 계획은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입수한 사내 메모를 인용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년 7월 2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미 올해 초 텍사스 오스틴에서 제한적(컨트롤드) 시험 운행을 진행한 데 이어,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 전역으로 무대를 확장한다. 지오펜스(Geofence) 방식으로 설정된 서비스 구역은 마린 카운티, 이스트베이 대부분, 샌프란시스코 시내, 그리고 남쪽으로는 산호세까지 광범위하게 포함된다.
보도에 따르면 출시 일정은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져 이르면 금요일(현지 기준)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일부 테슬라 차량 보유자에게는 개인 초청장이 전달될 예정이다.
사내 메모 인용“초기 단계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오너 대상 한정 서비스로 시작해 데이터를 축적한 뒤, 추후 일반 대중에게 확대할 방침이다.”
로보택시·휴머노이드 양대 축으로 전략 전환
엘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자율주행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제시해 왔다. 이는 완성차 라인업 노후화와 전기차 판매 성장률 둔화를 상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테슬라가 올해 안에 최소 5,000대를 양산한다는 머스크의 목표와 달리, “현재까지 생산된 옵티머스는 수백 대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디인포메이션 두 매체의 보도 모두 로이터통신이 독자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 테슬라 측도 언론 질의에 즉각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규제 장벽과 허가 절차
규제 당국의 승인은 테슬라의 로보택시 상용화에 있어 핵심 변수다. 머스크는 이번 주 실적 발표 전화회의에서 “캘리포니아·네바다·애리조나·플로리다 등 여러 주에서 규제 승인을 받는 중”이라고 밝혔지만, 캘리포니아 규제기관은 다른 입장이다.
캘리포니아 차량국(DMV)은 24일 로이터와의 통화에서 “테슬라가 아직 완전 자율주행(비운전자) 승객 수송·요금 부과 관련 면허 신청을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공공유틸리티위원회(CPUC) 역시 무인 호출차량 운행 허가를 관장하지만, 양 기관 모두 추가 질의에 답하지 않았다.
DMV·CPUC 허가 절차는 일반적으로 ▲운행 시험 허가 ▲수수료·요금 부과 허가 ▲완전 상용화 허가 순으로 진행된다. 경쟁사 웨이모·크루즈도 수년에 걸쳐 단계별 허가를 받아야 했다. 테슬라 역시 동일한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용어 한눈에 보기
지오펜스(Geofence)는 GPS·셀룰러 데이터로 가상의 경계선을 설정해, 해당 범위 내에서만 자율주행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술이다. 이는 초기 단계 자율주행차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업계 표준 전략이다.
CPUC(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는 캘리포니아 주내 에너지·통신·교통 서비스 요금 및 안전을 규제하는 기관이다. 로보택시 요금 체계와 승객 안전 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테슬라가 완전 자율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CPUC 허가가 필수적이다.
전망과 업계 파장
전문가들은 테슬라 로보택시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론칭될 경우, 인공지능(AI) 기반 모빌리티 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촉발할 것으로 내다본다. 반면, 규제 지연·사고 위험·보험 문제 등이 상용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특히 투자 시장에서는 “로보택시가 매출 다각화와 높은 이익률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와 “규제 리스크가 과소평가됐다”는 경계심이 교차한다. 향후 테슬라가 허가 절차를 얼마나 신속히 완료하느냐, 실제 승객 데이터를 통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입증하느냐가 주가 흐름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 본 기사는 원문 기사 내용을 기반으로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며, 기자의 분석과 시각을 보강해 독자 이해를 돕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