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정부, 5억7,200만 달러 규모 경기부양책 단행…국경 분쟁 희생자 보상책도 확정

태국 내각이 18억5,000만 바트(미화 5억7,200만 달러)1에 달하는 새로운 경기부양책을 의결했다고 정부 관계자들이 5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최근 미국발 관세 충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지난 7월 캄보디아와의 국경 분쟁으로 사망·부상한 이들에 대한 보상을 포함하고 있다.

2025년 8월 5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줄라푼 아몬위왓(Deputy Finance Minister Julapun Amornvivat) 재무차관은 “이번 패키지는 경제 경쟁력 강화학생 대출 지원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미국이 부과한 관세에 따른 충격 완화를 위해 정부가 확보한 예비재원 250억 바트도 별도로 운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줄라푼 차관은 이날 각료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 관세·통상 공동성명을 준비할 수 있도록 내각 승인을 받았지만, 구체적인 서명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은 올해 초 태국산 수입품에 36% 관세를 예고했으나, 지난주 이를 19%로 인하해 역내 다른 국가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조정한 바 있다.

관세 조정에도 불구하고 태국 민간연구기관인 태국상공회의소대학(UTCC)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7%로 제시했다. 이는 재무부가 2025년 전망치로 수정 제시한 2.2%와 지난해 실질 성장률 2.5%를 모두 밑도는 수치다. 성장 모멘텀이 약화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번 부양책의 시급성을 방증한다.

“예산 투입 규모가 절대적으로 크지는 않지만, 통상 악재를 상쇄하고 내수를 지탱하기 위한 ‘촉진제 역할’을 기대한다.” — 태국국립개발연구원(NIDA) 소속 경제학자 코멘트(정부 공식 논평 아님)

한편 정부 대변인 지라유 후앙삽(Jirayu Huangsap)은 브리핑에서 “7월 캄보디아와의 국경 교전으로 목숨을 잃은 정부 공무원 유가족에게는 1가구당 1,000만 바트(약 31만 달러)를 지급한다”고 말했다. 부상한 공무원에게는 최대 100만 바트가 지급된다.
민간인 피해 보상도 확정됐다. 사망자 유족은 800만 바트, 부상자는 최대 80만 바트를 받는다.

용어 설명

바트(THB)는 태국 법정통화로, 8월 5일 기준 환율은 1달러당 약 32.35바트다. 관세(Tariff)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재정수입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관세율이 높아지면 수입가격이 상승해 수요가 위축되고, 수출국 입장에선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전문가 시각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부양 패키지를 ‘핀셋형 재정정책’으로 평가한다. 특히 학생 대출 지원 확대는 가계 부채비율(2024년 기준 GDP 대비 91%)을 완화하는 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한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관세 협상 결과가 투자심리와 환율·수출실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태국 정부는 재원 활용의 우선순위를 ① 내수 소비 진작 ② 대외교역 리스크 완화 ③ 취약계층 보호로 설정했다. 재무부 고위 관계자는 “예비재원 250억 바트는 관세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고용안정 프로그램중소기업 긴급 융자 등에 투입될 수 있다”고 밝혔다.

국경 분쟁 보상안과 관련, 국방부는 추가 군사비 지출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총리실은 “캄보디아와의 외교 채널이 가동 중이며, 추가 무력 충돌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향후 관전 포인트

1) 향후 2~3개월 내 발표될 미·태 관세 공동성명의 정확한 문안
2) 3분기 GDP 속보치와 민간소비 동향
3) 학생 대출 지원 확대에 따른 가계 신용지표 개선 여부가 시장의 관심사다.

1 재무부 공식 환산치 기준, 1달러=32.35바트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