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재무장관 “바트화 왜곡 없었다…중앙은행이 시장 안정 도구 보유”

방콕(로이터) — 태국 재무장관 에크니티 니티탄프라팟(Ekniti Nitithanprapas)은 30일(현지시각) 자국이 통화 조작(currency manipulation)에 관여한 적이 없으며, 중앙은행은 인위적 시장 개입(intervention) 없이도 환율을 관리할 수 있는 충분한 정책수단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5년 10월 29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그는 “과거에도 바트화 관리를 고의적으로 왜곡한 사례는 없다”며 “태국은행(Bank of Thailand·BOT)은 환율 안정을 위해 이미 다층적 메커니즘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무장관은 오는 12월까지 자금세탁 등 불법 자금 흐름(illicit fund movements)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에 왜곡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 우리의 의도”라며 중앙은행이 개입 없이도 바트화를 감독할 역량을 확보하고 있음을 거듭 강조했다.

주목

전문 용어 설명
‘매크로프루덴셜(macroprudential)’ 정책은 금융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제·감독 수단을 뜻한다. 여기에는 대출한도 규제, 은행 자본적정성 규제 등이 포함된다.

앞서 미국 재무부와 태국은행은 환율을 경쟁적 목적으로 조정하지 않도록 ▲매크로프루덴셜 조치 ▲자본유출입 규제 ▲연기금 등 국영 투자펀드(government investment vehicles)를 동원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태국은행은 별도 성명을 통해 “이번 합의는 중앙은행의 기존 환율 정책과 ‘환율 안정’ 목적을 훼손하지 않는다”고 설명하며, “무역 우위 확보를 위한 시장 왜곡은 정책 목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미·태 무역 관세 현황

태국 경제는 최근 미국 관세, 가계부채 급증, 강(强) 바트화에 따른 수출 경쟁력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에크니티 장관은 “미국 측과 일부 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목

현재 미국은 태국산 수입품에 평균 19%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당초 발표됐던 36%에서 낮아진 수준이며, 동남아시아 이웃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양국은 26일(현지시간) 체결한 미·태 무역 프레임워크 협정에서 “태국이 미국산 제품의 약 99%에 대해 관세 장벽을 철폐한다”는 데 합의했다.


향후 일정

태국 정부는 12월까지 불법 자금 흐름을 감시하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체계를 정비하고,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지속할 계획이다. 시장 참가자들은 중앙은행의 환율 스탠스 유지 여부와 미·태 관세 협상 결과가 바트화 및 수출 전망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