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미국 20% 관세는 ‘임시 조치’…최종 합의 시 추가 인하 기대

타이베이/로이터 – 타이완 정부는 20%에 달하는 미국 관세(tariff)‘임시적’ 조치에 불과하다고 밝히며, 협상 막바지에서 합리적인 세율을 확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1일(현지시간) 강조했다.

2025년 8월 1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라이칭더(賴清德) 총통 당선인은 페이스북 게시물에서 “최종 합의가 도출되면 관세율이 한층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고, 내각도 동일한 내용을 공식 성명을 통해 재확인했다.

이번 발언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을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 가운데 수십 개 교역 상대국‧지역 제품에 대해 10%에서 41%까지 차등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나왔다.

타이완 총통부는 같은 날 오전 11시 30분(타이베이 시간) (GMT 03:30)에 관세 관련 긴급 브리핑을 열고 구체적 대응 방안을 설명할 예정이다.

타이완은 지정학적‧경제적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최대 교역국인 중국 다음으로 큰 교역 파트너인 미국과의 무역 관계 강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미국 상무부와 타이완 재정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타이완은 미국과의 교역에서 739억2,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미국의 6번째 대규모 적자 유발국으로 집계됐다.

관세 협상 결과는 타이완의 향후 무역 전략과 글로벌 공급망 내 위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며, 수출 중심 경제 구조를 갖는 타이완에 매우 중요하다.


배경 및 시사점

관세(tariff)는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을 뜻하며,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미국은 통상법 301조, 무역확장법 232조 등 다양한 근거로 관세를 조정해 왔다.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은 대통령이 의회의 별도 승인 없이 발동할 수 있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명령이다. 이번 명령으로 최대 41%까지 관세율이 인상되면서 전 세계 공급망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철강·알루미늄·반도체 장비 등에 고율 관세를 부과해 협상력을 극대화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협상용 지렛대로서 ‘초기 고세율→합의 후 인하’ 시나리오가 재연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타이완 정부는 ‘임시적’이라는 표현을 통해 시장과 기업의 불안을 진정시키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제시한 세율 구간이 최대 41%에 이르는 만큼, 반도체·정보통신 제품 비중이 큰 타이완 수출 기업은 실제 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최종 합의 과정에서 세율이 10%대 초반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미국 대선 국면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 타이베이 소재 국책연구기관 연구원

관세가 고착화될 경우, 타이완 기업은 베트남·멕시코 등 제3국 생산 기지를 확대해 ‘우회 수출’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대로 조기 합의가 성사되면 양국 간 무역협정(TIFA·FTA 등) 논의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무역 전문가들은 “타이완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과학법(Chips Act) 등 공급망 재편 정책에 발맞춰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시장 측면에서 보면, 뉴욕증시에 상장된 TSMC타이완반도체제조 등의 주가 변동성, 대만증시(TAIEX) 환율·금리 흐름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특히 달러 강세가 장기화할 경우, 관세 부담과 환차손이 겹쳐 수출기업 수익성이 이중으로 압박받을 수 있다.

결국 이번 20% ‘임시 관세’가 실제로 어느 수준까지 낮아질지는 향후 몇 주 내 열릴 고위급 회담 결과가 가늠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