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포인트
Kenneth L. Cornick 클라리베이트(Clarivate Plc, NYSE: CLVT) 이사회 멤버가 725,000주를 장내매수 형태로 취득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Form 4 공시에 따르면 총 매수 금액은 약 2.5백만달러로, 주당 가중평균 매수가는 약 3.42달러로 집계됐다. 이번 거래 이후 Cornick의 직접 및 간접 보유주식은 총 1,032,711주로 증가했다.
2025년 11월 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 매수는 회사의 3분기 실적 발표(10월 29일) 직후인 10월 31일부터 11월 3일 사이에 이뤄졌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클라리베이트 주가는 1년 누적 약 26% 하락(기준일: 2025년 11월 3일)한 상태였으며, 52주 최고가인 5.88달러(작년 12월 기록) 대비 약세를 지속하고 있었다. 11월 3일 종가 기준 주가는 3.54달러, 시가총액은 약 22.8억달러였다.
거래 요약
SEC 공시에 근거하면, 이번 장내매수 규모는 총 725,000주로 집계됐고, 가중평균 매수가는 3.42달러로 산출됐다. 거래 이후 직접 보유 주식은 32,711주였으며, 간접 보유 주식은 합산 100만주로 보고됐다. 또한 2025년 11월 3일 종가를 기준으로 직접 및 간접 보유분의 평가가치는 약 370만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 회사 차원에서는 시총 대비 미미한 규모일 수 있으나, 내부자 관점에서는 유의미한 자금 배분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공시 및 배경
이번 거래는 SEC Form 4 공시를 통해 확인됐다(문서 식별: edgar 데이터 1764046, 제출문서 번호 000162828025048460). 이번 내부자 거래는 회사가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이뤄졌다. 내부자 매수는 일반적으로 경영진 혹은 이사의 회사 전망에 대한 신뢰 신호로 해석되나, 시장의 단기 수급이나 구조적 이슈를 곧바로 반전시키는 보증은 아니다.
핵심 질문과 답변
무엇이 이번 거래의 시점과 시장 맥락을 두드러지게 만드는가?
이번 매수는 10월 31일~11월 3일 사이, 주당 약 3.42달러의 가중평균 가격으로 체결됐다. 기준일(2025년 11월 3일) 당시 최근 1년 수익률은 약 -26%로, 연중 내내 이어진 부정적 주가 흐름 속에서 이뤄진 상당한 규모의 내부자 매수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번 거래가 Cornick의 직접 보유 주식에 미친 영향은?
매수 이후 직접 보유는 32,711주로 집계됐다. 이는 취득한 모든 주식이 직접 보유로 귀속된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간접 보유나 관련 실체가 있었는가?
그렇다. 이번 거래 후 간접 보유는 총 100만주로 보고됐다.
거래 규모는 회사의 최근 시가총액과 비교해 어떠한가?
이번 매수 총액은 약 250만달러로 추정된다. 반면 클라리베이트의 시가총액은 22.8억달러(2025년 11월 3일 기준)로, 기업 규모에서는 재무적 영향이 제한적인 수준이지만, 내부자 관점에서는 의미 있는 베팅으로 볼 수 있다.
기업 개요 및 핵심 지표
주가(2025년 11월 3일 종가): 3.54달러
시가총액: 22.8억달러
매출(TTM): 25억달러TTM은 최근 12개월 누계
1년 가격 변동률: -26.28%
클라리베이트는 연구 인텔리전스(Web of Science, InCites), 생명과학 데이터(Cortellis, Newport Integrity), 지식재산권(IP) 솔루션(Derwent, CompuMark), 브랜드 보호(MarkMonitor) 등 정보 서비스와 분석을 제공한다. 수익은 구독형 데이터 플랫폼, 분석 도구, 전문 서비스로 창출되며, 고객은 정부 및 학술기관, 생명과학 기업, 연구 중심의 글로벌 기업 등으로 구성된다. 회사는 특화된 독점 데이터셋과 플랫폼을 기반으로 연구, IP 관리, 브랜드 관리 전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3분기 실적 맥락
클라리베이트는 2025년 3분기 매출 6억2,310만달러를 보고했다. 이는 2024년 동기의 6억2,220만달러를 소폭 상회했지만, 연초 이후 3분기 누계 매출은 19억달러로 전년 대비 약 3% 감소했다. 부채는 3분기 말 기준 45억달러로, 현금성자산 3억1,870만달러 대비 크기가 크다. 회사는 순이익 기준 아직 흑자전환을 이루지 못했으며, 3분기 순손실 2,830만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전년 동기 6,560만달러 손실 대비 적자 폭은 축소됐다.
Foolish Take
이번 내부자 매수는 10월 29일 3분기 실적 발표 직후 이뤄졌고, 주가가 52주 최고가 5.88달러 대비 약세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단행됐다. 이는 Cornick이 클라리베이트 장기 전망에 대해 긍정적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2025년 전반의 판매 둔화와 상당한 수준의 부채, 그리고 지속되는 순손실은 투자 판단에 신중함을 요구한다. 기사에서는 향후 몇 분기 동안 사업 추세를 확인한 뒤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보수적 접근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시사한다.
용어 해설
Insider transaction: 기업의 임원, 이사 또는 주요 주주가 회사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로, 규제당국에 보고된다.
Open-market transaction: 공개 시장에서의 매매로, 사적 협상 거래가 아닌 거래소를 통한 일반 체결을 의미한다.
Direct ownership: 개인이 본인 명의로 보유하는 주식.
Indirect holdings: 신탁, 파트너십 등 다른 실체를 통한 보유.
Form 4: 내부자 거래를 공시하는 SEC 제출 문서.
Weighted average purchase price: 여러 가격대에서 체결된 거래를 가중 평균한 주당 평균 매수가.
Immaterial: 기업 규모 대비 재무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수준을 뜻한다.
Subscription-based data platforms: 반복 과금 기반으로 지속적 데이터 접근과 분석을 제공하는 서비스.
Proprietary platforms: 회사가 소유하고 통제하는 독점 플랫폼.
TTM: Trailing Twelve Months, 최근 12개월 누계 실적을 말한다.
관련 링크 및 참고
SEC Form 4 공시: https://www.sec.gov/Archives/edgar/data/1764046/000162828025048460/0001628280-25-048460-index.htm
연관 콘텐츠
다음 백만장자를 만들 수 있는 10개 종목: https://www.fool.com/mms/mark/e-sa-nonbbn-kp?aid=10969
기자 분석 및 시사점
내부자 매수는 일반적으로 신뢰 신호로 받아들여지며, 특히 주가가 장기간 부진한 구간에서의 매수는 경영진이 현 주가 수준을 과도한 할인으로 판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이번 건은 시가총액 대비로는 재무적 영향이 제한적이고, 회사의 구조적 과제로 남아 있는 부채 45억달러와 현금 3억1,870만달러, 그리고 지속되는 순손실을 즉각 해소하는 촉매는 아니다. 투자 관점에서는 현금흐름 개선, 부채 감축 속도, 구독형 매출의 순증, 가격정책과 해지율 등 질적 지표의 추세 확인이 중요하다. 또한 연구·지식재산·브랜드 보호라는 핵심 고객 워크플로우 내에서의 플랫폼 점착력과 업셀링/크로스셀링의 견조함이 유지되는지 여부가 중장기 재가치평가의 열쇠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Cornick의 매수는 심리적 바닥 신호로 작용할 수 있으나, 실적의 질 개선과 레버리지 완화가 동반되어야 지속 가능한 리레이팅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투자 관련 안내
1,000달러 투자 아이디어 관련 홍보성 콘텐츠에서는 분석팀의 추천 종목이 장기적으로 의미 있는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고 소개한다. Stock Advisor의 평균 누적 수익률은 1,034%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같은 기간 S&P 500의 191% 대비 초과 성과로 홍보된다(2025년 11월 3일 기준). 관련 추천 목록은 가입 시 확인 가능하다고 안내되어 있다.
저자 및 공시
작성자 Robert Izquierdo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종목에 보유 지분이 없다. 더 모틀리 풀(The Motley Fool) 역시 해당 종목들에 포지션이 없다고 밝힌다. 더 모틀리 풀의 공시 정책은 자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문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