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계 핀테크 기업 클라르나(Klarna)가 미국 증시 상장을 앞두고 주당 40달러에 공모가를 확정했다. 이는 당초 제시한 35~37달러 범위를 웃도는 수준으로, 확정 공모가 기준 기업가치는 약 151억 달러(약 20조 원)로 평가된다.
2025년 9월 1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클라르나는 이번 상장을 통해 총 34,311,274주의 보통주를 시장에 내놓는다. 이 가운데 회사가 새로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물량은 500만 주, 기존 주주들이 처분하는 물량은 29,311,274주다.
클라르나는 이번 IPO에서 약 14억 달러를 조달했으며, 26배에 달하는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투자 수요가 공급 물량을 크게 상회했음을 보여준다.
클라르나 보통주는 ‘KLAR’라는 티커로 9월 10일(수)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첫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거래는 미 동부시간 기준 오전 개장과 함께 이뤄지며, 9월 11일(목) 모든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다만 통상적인 마감 조건이 적용되는 만큼, 실제 마감일정은 변동될 수 있다.
이번 상장의 공동 주간사(조인트 북러너)로는 골드만삭스, JP모건, 모간스탠리가 이름을 올렸다.
‘바이 나우, 페이 레이터(Buy Now, Pay Later·BNPL)’란?
BNPL은 소비자가 물건을 먼저 받고 이후에 분할 납부하는 소액 할부 금융을 뜻한다. 신용카드 결제와 유사하지만, 신용카드 한도·심사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젊은 온라인 소비층이 고가 제품을 유연하게 구매할 수 있어 시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클라르나는 BNPL 모델을 2005년 창립 이후 선구적으로 도입했으며, 2021년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주도로 기업가치가 한때 460억 달러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2022년 글로벌 금리 인상 국면에서 핀테크 전반 밸류에이션이 조정되며 같은 해 67억 달러까지 급락한 바 있다. 이번 IPO는 그 이후 첫 대규모 자본시장 복귀라는 의미를 갖는다.
시장에서는 BNPL 산업이 고금리 국면에서도 여전히 성장 여력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다수 애널리스트들은 수익성 개선과 규제 불확실성 해소 여부가 향후 주가 흐름을 좌우할 주요 변수라고 분석한다.
한편, 윙클보스 형제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Gemini)도 이번 주 내로 뉴욕증시에 입성할 계획이다. 핀테크와 디지털자산 플랫폼이 연이어 상장에 나서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섹터 내 자금 배분 전략에 변화가 예상된다.
“IPO 초과 청약 열기는 클라르나가 여전히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 시장 참가자들의 공통된 평가다.
다만 일각에서는 경쟁 심화와 규제 리스크가 장기 성장동력에 미칠 영향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미국 및 유럽 규제 당국이 BNPL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보호 장치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향후 비용 구조와 금리 정책 변동이 수익성 추이에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