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르나, 뉴욕증시 상장 공모가 40달러 확정…기업가치 151억 달러로 재도약

스웨덴 핀테크 기업 클라르나 그룹 PLC(Klarna Group PLC)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앞두고 공모가를 주당 40달러로 확정했다. 이번 가격 책정으로 회사의 기업가치는 약 151억 달러(한화 약 20조 원)로 평가된다.

2025년 9월 10일, 인베스팅닷컴블룸버그, 로이터, 파이낸셜타임스 등의 복수 매체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클라르나는 이번 IPO를 통해 약 14억 달러를 조달했다. 수요가 공모 물량의 26배에 달해 초과 청약이 발생했으며, 최종 공모가는 당초 제시됐던 35~37달러 밴드를 상회했다.

클라르나 주식은 11일(현지 시각)부터 NYSE에서 ‘KLAR’라는 티커로 거래를 개시할 예정이다. 애초 올해 초 상장을 시도했으나, 당시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발표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를 이유로 일정을 연기한 바 있다.

주목

지금 사고 나중에 결제’ BNPL 모델 선구자

클라르나는 소액 단기 할부 서비스인 ‘바이 나우, 페이 레이터(Buy Now, Pay Later; BNPL)’ 모델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 BNPL은 소비자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즉시 결제 대신 2~4회 무이자 분할 상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금융 방식이다. 일종의 소액 선구매·후지불 서비스로, 신용카드보다 승인 절차가 간단하고 이자 부담이 적다는 점이 특징이다.

클라르나의 기업가치는 2021년 소프트뱅크 비전펀드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에서 최대 460억 달러까지 치솟았으나, 2022년 전 세계 금리 상승 여파로 67억 달러 수준까지 급락했다. 이번 상장을 통해 몸값을 두 배 이상 회복하면서 핀테크 업계 재도약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IPO 시장 회복세

최근 미국 IPO 시장은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 디자인 소프트웨어 업체 피그마(Figma Inc.)와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Bullish Inc.)가 올해 각각 10억 달러 이상을 조달했고, 윙클보스 형제가 운영하는 또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Gemini)도 이번 주 상장을 앞두고 있다. 클라르나 역시 이러한 시장 분위기를 활용해 일정 재개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BNPL 시장은 금리 민감도가 높다. 향후 기준금리가 완만한 완화 사이클에 들어선다면,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에게 BNPL 수요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금리 방향성, 규제 환경, 소비 심리 회복이 향후 클라르나 주가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한다.

주목

전문가 시각

BNPL은 편의성과 접근성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과소비 유발 및 연체 위험이 잠재적인 리스크다. 특히 글로벌 규제 당국이 BNPL을 ‘소액 신용’으로 정의하면서 추가 감독을 예고하고 있어, 성장세가 규제에 의해 속도 조절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클라르나가 상장 후 확보한 14억 달러를 어디에 투입할지도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M&A·AI 기반 리스크 관리 시스템 고도화·글로벌 진출 가속 등을 유력 용처로 꼽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번 상장을 통해 핀테크 플랫폼의 수익 모델 다변화, 거시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BNPL 수요 탄력성, 상장 후 락업(보호예수) 해제 일정 등을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


※ 용어 설명
·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존 비상장 기업이 주식을 공개 시장에 최초로 발행해 상장하는 절차.
· BNPL: 구매 시점에는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이후 여러 번 나눠 상환하는 무이자 혹은 저이자 분할 결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