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선물시장에서 코코아 가격이 다시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뉴욕 ICE 9월물 코코아(종목 코드: CCU25)는 전일 대비 +356달러(+4.56%) 오른 파운드당 8,167달러에, 런던 ICE 9월물 코코아(종목 코드: CAU25)는 +192파운드(+3.80%) 상승한 톤당 5,241파운드에 거래를 마쳤다.
2025년 7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상승은 아이보리코스트(코트디부아르)의 코코아 수출 속도 둔화라는 공급 측 요인이 직접적인 촉매로 작용했다. 현지 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누계 수출량은 174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으나, 지난해 12월 기록했던 35% 증가율과 비교하면 크게 둔화된 모습이다.
또한 과도한 펀드의 공매도 포지션도 단기적인 숏커버링 랠리를 부추겼다. ICE 선물 유럽이 7월 15일 기준으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펀드들은 런던 코코아 시장에서 순숏 포지션을 1,010계약 늘린 6,361계약을 보유해 2년여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수요 부진에도 단기 반등… 작년 말 대비는 여전히 약세
지난주 코코아 가격은 유럽·아시아 수요 위축에 타격을 받아 크게 밀렸다. 뉴욕 코코아는 8개월 만의 최근월물 최저가, 런던 코코아는 17개월 만의 최저가를 각각 기록했다. 유럽코코아협회(ECA)는 2분기 유럽 코코아 분쇄(grindings) 실적이 전년 대비 7.2% 감소한 331,762t이라고 발표해 시장 컨센서스(-5%)를 하회했다. 아시아코코아협회(CCA)도 같은 기간 분쇄량이 16.3% 줄어 176,644t을 기록, 8년 만에 최저 2분기 실적을 보여줬다. 북미 지역만이 -2.8%(101,865t)의 감소에 그치며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스위스의 초콜릿 제조사 배리 칼리바우트(Barry Callebaut) AG는 코코아 가격 급등을 이유로 최근 3개월 새 두 번째로 연간 판매량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했다. 이 회사는 3~5월 판매량이 -9.5% 급감해 10년 만에 최대 분기 감소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공급 측 변수도 상존한다. 미국 ICE가 모니터링하는 미국 항만 보관 재고는 6월 18일 236만3,861포대로 10개월 최고치에 도달한 뒤, 7월 21일 현재도 235만1,269포대로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주요 생산국 동향
가나는 2025/26년 코코아 생산량을 65만t(+8.3% y/y)으로 전망해 가격에 약세 압력을 더하고 있다. 반면 아이보리코스트에서는 4~9월 수확되는 미드크롭(mid-crop) 품질이 저하돼 공급 우려가 제기된다. 현지 가공업체들은 트럭 한 대분 중 5~6%가 불량이라고 지적했으며, 이는 메인크롭(main-crop) 때의 1% 대비 크게 높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올봄 늦게 내린 비로 착과가 불량해, 미드크롭 생산량은 40만t으로 전년 대비 9% 감소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 시즌 글로벌 공급 부족분을 49만4,000t으로 상향 조정해 60여 년 만에 최대 적자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생산량은 4,380만t으로 전년 대비 13.1% 감소했고, 재고/분쇄 비율은 27.0%로 46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2024/25 시즌에는 14만2,000t의 4년 만의 흑자가 예상되며, 생산량도 7.8% 늘어난 4,840만t으로 추정된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그라인딩(grindings)은 카카오빈을 초콜릿, 코코아 파우더 등으로 가공하기 위해 분쇄하는 양을 뜻한다. 이는 실제 소비 수요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다.
미드크롭(mid-crop)은 서아프리카에서 연 2회 이뤄지는 코코아 수확 중 4~9월의 소규모 수확기를 말하며, 메인크롭은 10~3월에 집중된다. 미드크롭의 품질이 떨어질 경우 메인크롭 대비 프리미엄이 발생할 수 있다.
재고/분쇄 비율(stocks/grindings ratio)은 재고를 실제 분쇄량으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현물 공급이 빠듯함을 의미한다.
전망에 대해서는 수급이 여전히 불안정하지만, 단기 가격 변동성은 펀드 포지션 변화와 주요 가공업체의 수요 조정 여부에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시장은 7월 말부터 발표될 주요 지역 3분기 분쇄 실적과 아이보리코스트·가나의 기상 조건을 주시하고 있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