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 미국 정부 셧다운의 경제적 영향이 예상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고 백악관 경제자문 케빈 해싯(Kevin Hassett)이 금요일 밝히면서도, 셧다운 종료 후에는 미국 경제가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다.
2025년 11월 7일, 로이터(Reuters)의 보도에 따르면, 해싯은 건설 프로젝트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여행·레저 부문이 타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다. 그는 폭스 비즈니스 네트워크(Fox Business Network)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상황을 전하며, 현장의 체감경기가 빠르게 냉각되고 있음을 시사했다다.
“여행과 레저 분야는 지금 매우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이런 타격이 계속되고, 항공 여행 문제가 1~2주 더 악화한다면, 최소한 단기적인 경기 하강을 겪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경제위원회(NEC) 소장인 해싯은 미국 경제의 어느 한 영역이 이미 침체(recession)에 들어갔다고까지 말하진 않았다고 밝혔다다. 이는 지난주 더 강한 표현을 사용했던 스콧 베슨(Scott Bessent) 재무장관의 평가만큼 멀리 나아가지는 않은 것이다다.
해싯은 Mornings with Maria에 출연해 노동시장이 다소 약해진 기색을 보인다고 말했다다. 그는 그 원인의 일부가 38일째 이어진 정부 셧다운이 초래한 불확실성에 있다고 지적했다다.
또한 해싯은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2월 기준금리 동결(일시 중단, pause) 가능성을 언급한 뒤, 실망감을 느꼈다고 말했다다. 그는 통화정책 방향성에 대한 이러한 신호가 현 경제상황과 기대경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내비쳤다다.
해싯은 같은 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연방정부가 재개되면 미국 경제가 신속히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재차 밝혔다다. 그는 현재의 약화 조짐이 구조적 붕괴라기보다, 셧다운과 관련된 일시적 충격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다.
배경 및 용어 설명
정부 셧다운은 의회에서 예산안이 제때 통과되지 못했을 때 연방정부의 비필수 기능이 일시 중단되는 상황을 의미한다다. 이로 인해 연방 공공서비스 제공이 지연되거나 축소되고, 일부 공무원은 일시 휴직하거나 임금 지급이 늦어질 수 있다다. 민간 부문에서는 정부 조달과 규제 승인 절차가 늦어지면서 건설 프로젝트나 투자 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다.
국가경제위원회(NEC)1는 백악관 내에서 대통령의 경제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부처 간 조정을 담당하는 기구다다. NEC 소장인 해싯은 이러한 정책 조율의 중심에서 경제 신호를 종합해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대외적으로는 정책 기조를 설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다.
여행·레저 산업은 경기 민감도가 높아, 항공 운항 차질이나 소비심리 둔화가 즉각적인 수요 감소로 이어지기 쉽다다. 항공 여행의 병목이 길어질 경우 항공사, 공항 운영, 호텔·숙박, 외식·엔터테인먼트 등 연관 부문 전반에 파급 효과가 발생한다다.
금리 ‘일시 중단(pause)’은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조정 주기를 잠시 멈추고, 경제·물가 데이터를 더 관찰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다. 시장에서는 이를 정책 유연성 확대의 신호로 보기도 하지만, 동시에 경기 둔화를 연준이 의식하고 있다는 간접 메시지로 받아들이기도 한다다.
1 NEC: National Economic Council의 약칭
분석 및 함의
해싯의 발언은 “영향은 예상보다 심각하나, 재개 시 빠른 반등”이라는 양면 신호를 담고 있다다. 이는 셧다운이 실물경제 곳곳—특히 건설과 여행·레저—에 이미 체감 가능한 수요·공급 충격을 유발했음을 시사하는 동시에, 근본 수요와 경제의 내재 탄성은 여전히 견조하다는 평가로 읽힌다다. “항공 여행 문제가 1~2주 더 이어질 경우 단기 하강” 언급은 교통·물류 병목이 서비스 수요를 빠르게 위축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리스크 시나리오다다.
노동시장에 대해 해싯이 “다소 부드러워졌다”고 표현한 대목은, 38일 셧다운이 초래한 불확실성이 채용·근로시간·임시직 활용 등에 완만한 조정 압력을 가하고 있음을 암시한다다. 다만 그는 이러한 약화가 구조적 침체라기보다, 정책·제도 요인에서 비롯된 일시적 변동일 가능성을 강조하며, 재개 시 빠른 복원을 전망했다다.
통화정책과 관련해 해싯이 실망감을 표한 것은, 연준의 ‘일시 중단’ 신호가 정책 경로에 대한 기대를 흔들 수 있음을 반영한다다. 정책 가이던스의 변화 가능성은 금융여건과 심리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셧다운으로 민감해진 수요와 맞물릴 수 있다다. 그럼에도 해싯은 백악관 브리핑에서 재개 시 ‘신속한 반등’을 재확인함으로써,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초체력에 대한 신뢰를 유지했다다.
결국, 이번 메시지는 정책 당국이 단기 충격 관리와 신뢰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다. 여행·레저와 건설 등 현금흐름 민감 업종에서의 타격이 장기화될 경우 파급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셧다운 해소와 정책 명확성이 경기 저하를 방지하는 열쇠라는 점이 부각된다다. 동시에, 셧다운 종료 후 이연 수요와 프로젝트 재개가 맞물리면 완만하되 빠른 속도의 정상화가 전개될 수 있다는 기대가 유지되고 있다다.
원문 핵심 인용 정리
• “여행·레저는 지금 크게 타격받고 있다.”
• “항공 여행 문제가 1~2주 더 악화되면, 단기적 경기 하강 가능성을 말할 수 있다.”
• “노동시장은 다소 부드러워졌다.”
• “연준의 12월 금리 일시 중단 가능성 언급 이후 실망했다.”
• “정부 재개 시 미국 경제는 빠르게 반등할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