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주지사, 공공전력사 산불기금 180억 달러 추가 조성 추진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대형 산불 피해 보전을 위해 조성한 기금에 1백80억 달러를 추가 투입할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주 전체의 전력 인프라 안정성과 산불 피해 복구 속도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개빈 뉴섬 주지사가 준비 중인 입법안 초안에 포함돼 있다.

2025년 7월 30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뉴섬 주지사는 주(州) 의회에 180억 달러 추가 출연을 골자로 한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 법안은 2019년 설립된 ‘캘리포니아 산불기금(California Wildfire Fund)’을 보강해 전력회사들이 야기한 산불 피해 배상 재원과 소비자 보호 장치를 동시에 확충하도록 설계됐다.

현행 산불기금은 210억 달러 규모로, 지진보험을 관장하는 캘리포니아 지진국(California Earthquake Authority)이 운용한다.

기금 설립 목적은 “전력설비로 인한 산불 피해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면서, 공익 전력회사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천문학적 손해배상 책임에서 보호받도록 하는 것”이다.*

새 입법안 초안에 따르면 전기요금 납부자(ratepayers)가 절반을, 혜택을 보는 전력사—에디슨 인터내셔널(NYSE:EIX), PG&E(NYSE:PCG), 샘프라 에너지(Sempra)가 나머지 절반을 분담하게 된다. 요금 납부자는 매월 부과되는 소정의 할증(fee)을 통해 기금에 기여하며, 세 전력회사는 배당·배당성향·자체 적립금 등 내부 재원을 활용해 분담금을 납부할 것으로 전해졌다.

뉴섬 주지사 사무실은 블룸버그 통신에 보낸 성명에서 “산불 생존자들의 회복과 캘리포니아 공공요금 부담 완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입법부와 협업하고 있다”며 “기금 안정화 방안 마련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에디슨 인터내셔널, PG&E, 샘프라, 그리고 뉴섬 주지사 사무실에 추가 논평을 요청했으나 기사 마감 시점까지 응답을 받지 못했다. 또한 블룸버그 보도 내용은 아직 공식 확인 전 단계이며, 입법 초안은 향후 수정될 가능성이 있다.


용어·배경 설명

캘리포니아 지진국(California Earthquake Authority)은 주(州) 정부와 민간 보험사가 공동 출자해 만든 비영리 단체로, 지진 보험 상품을 판매·운용한다. 2019년 이후 산불기금까지 관리하며 재난 리스크 관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California Wildfire Fund는 ‘공익 전력사(Investor Owned Utilities)’의 전력설비가 발화 원인으로 지목된 산불 피해 배상금을 먼저 지급한 뒤, 해당 전력사가 후속 비용을 기금에 상환하는 구조다. 이를 통해 소송 절차 지연으로 인한 피해자 생계·주거 불안을 최소화한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1) 시장 영향: 신규 180억 달러 투입은 3대 전력사에 신용등급 방어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산불 발생 시 즉각적인 유동성 확보가 가능해져, 재무적 충격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2) 소비자 부담: 월별 할증은 인플레이션 장기화 국면에서 전기요금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주정부는 산불로 인한 대규모 정전과 긴급 수리 비용을 고려할 때 ‘선(先) 부담‧후(後) 안정’이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3) 정책 논의 쟁점: 주의회는 기금 운용의 투명성, 전력사 설비 현대화 투자 의무, 그리고 산불 예방 인프라 예산 배분 문제를 집중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불 고위험 지역(High Fire-Threat Districts)의 송전선 지중화(地下化) 및 인공지능 기반 조기 감지 시스템 구축 의무화 여부가 핵심 이슈로 꼽힌다.

4)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점: 기금 확대는 전력사 ESG 등급에 긍정적 변수를 제공할 수 있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빈도 증가가 장기 리스크로 남아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기금 규모 확대뿐 아니라 예방적 설비 투자 확충 여부를 함께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