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와(OTTAWA)—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이 발표한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따르면 2025년 8월 캐나다 GDP가 전월 대비 0.3% 감소했다. 이는 시장 참가자들이 예상한 ‘성장 정체(0%)’를 뒤엎은 결과다.
2025년 10월 31일, 로이터통신(Reuters) 오타와발 보도에 따르면 8월 하락에도 불구하고 9월 선행(advance) 추정치가 0.1% 성장으로 나타나면서 3분기 전체가 연율 0.4% 성장으로 집계될 가능성이 제시됐다. 이는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이번 주 제시한 0.5% 성장 전망치에는 못 미치지만, 기술적 경기침체(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를 피할 여지를 만든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1. 8월 부진의 배경
17개월 만에 네 번째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8월 GDP 감소는 서비스업과 재화(상품) 부문 동반 부진이 주된 원인이었다. 특히 제조업(-0.5%)은 미국의 철강·자동차·목재·알루미늄 관세 여파로 직격탄을 맞았고, 광업·채석·석유·가스 추출 부문은 0.7%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금속광업 -1.2%, 석탄광업 -5%로 하락 폭이 컸다.
서비스업에서는 운송·창고업이 일부 항공사 파업 탓에 위축됐고, 도소매(wholesale) 무역도 약세를 보였다. 다만 소매업(retail trade)과 부동산·임대·리스(real estate & rental & leasing) 분야가 증가하며 낙폭을 일부 상쇄했다.
2. 9월 전망 및 3분기 성장률 계산법
캐나다 통계청은 ‘GDP 선행지표’를 통해 9월이 전월 대비 0.1%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선행치는 산업생산(industrial output)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되며, 실제 확정치는 소득·지출 측정치를 반영해 달라질 수 있다”
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만약 9월 수치가 확정된다면 3분기 연율(annualized) 기준 성장률은 0.4%로 집계된다.
여기서 ‘연율 환산(annualized)’이란 분기 성장률을 연간 기준으로 환산해 경기 흐름을 비교하기 위한 통계 방식으로, 분기 성장률을 4배로 확대 계산한 수치다.
3. 경기침체(recession) 여부
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두 분기 연속 GDP 감소를 ‘기술적 경기침체’로 정의한다. 캐나다 경제는 이미 2분기에 연율 -1.6%를 기록해 한 분기 마이너스를 경험했다. 이번 3분기가 플러스면 침체를 모면하지만, 성장률이 0%에 근접해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우려도 남아 있다.
Bank of Canada(BoC)는 이번 주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3분기 0.5% 성장”을 예상했으나, 통계청 예비치는 이를 소폭 밑돌았다. BoC는 관세 불확실성, 세계 수요 둔화, 가계부채 부담 등을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4. 부문별 세부 내용
- 제조업: GDP 비중 약 10%, 8월 -0.5%.
- 광업·채석·석유·가스: -0.7%로 최대 감소.
- 금속광업: -1.2%.
- 석탄광업: -5%.
- 서비스업: 운송·창고업, 도소매 무역 하락.
- 소매·부동산: 플러스 성장으로 하락분 일부 상쇄.
5. 용어 풀이 및 맥락
• 선행지표(advance indicator)란 실제 확정 통계 이전에 경제 동향을 가늠하기 위해 신속 작성되는 추정치로, 변동 폭이 커질 수 있어 사후 수정이 잦다.
• BoC 전망치는 중앙은행 작업 모델과 설문을 기반으로 하며, 연방정부 예산 및 글로벌 수요 전망 변동 시 재조정된다.
• 관세(tariff) 관세는 특정 품목 수입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가격 상승과 수요 위축을 초래해 제조업 수출 의존 경제에 큰 충격을 준다.
6. 시장 반응 및 전망
로이터가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컨센서스는 “4분기에도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겠지만, 관세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부진 리스크가 상존”한다고 진단한다. 캐나다 달러는 발표 직후 미 달러 대비 소폭 약세를, 국채 금리는 하락 압력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부동산·소비·서비스업의 선방이 단기 충격을 완화했지만, 제조·자원 부문 중심 구조적 도전이 지속된다”고 평가한다.
7. 결론
8월 GDP 감소는 캐나다 경제의 취약 면을 재확인했으나, 9월 소폭 반등이 실현될 경우 3분기 경기침체를 피할 전망이다. 다만 실제 수치는 추정치가 아닌 12월 확정치 발표 때까지 유동적이다. 향후 관세 협상·세계 경기·가계 부채가 핵심 변수로 남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