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정부가 국가 경제 전환 가속화를 목표로 Major Projects Office(이하 MPO)를 공식 출범시켰다. 새 기구는 항만·철도·에너지 회랑·청정 기술 등 국가 전략 인프라를 신속히 승인·건설하기 위한 전담 창구로 기능한다.
2025년 8월 2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Building Canada Act 발효에 맞춰 MPO 설립을 공식 발표하며 “캐나다는 세인트로렌스 해양수로와 엑스포 67을 일궈낸 건설의 민족이다. 지금 우리는 의존(Dependence)에서 회복(Resilience)으로의 전환이라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고 강조했다.
MPO는 본부를 앨버타주 캘거리로 정하고, 전국 각지에 지역 사무소를 설치해 규제·재원 조율의 단일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정부는 “One Project, One Review” 모델을 통해 최대 2년 이내에 모든 인허가 절차를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으며, 이는 기존 평균 5~7년을 훨씬 단축한 수치다.
“이번 결정은 ‘투자 지체 병목’을 제거하고, 국제자본이 캐나다 인프라로 유입될 수 있는 길을 넓히려는 전략적 조치다.” — 도미닉 르블랑 연방 정부 간 관계 담당 장관
초대 최고경영자(CEO)에는 업계 베테랑인 돈 패럴 전 트랜스마운틴·트랜스앨타·BC 하이드로 임원이 선임됐다. 그는 복잡한 승인 절차와 이해관계가 얽힌 대규모 프로젝트를 다수 이끌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MPO의 ‘초기 설계도’를 완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MPO는 단순 규제기관을 넘어 투자 구조 설계 기능도 담당한다. 캐나다 성장펀드, 인프라은행, 그리고 원주민 금융 프로그램과 연계해 민관합동(PPP) 모델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재원 조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구상이다.
원주민 참여도 핵심 의무로 명시됐다. MPO는 취임 즉시 First Nations, Inuit, Métis 및 현대조약(Modern Treaty) 파트너로 구성된 원주민 자문위원회를 설치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실질적 경제 혜택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 상공회의소 캔디스 레잉 회장兼CEO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투트랙 승인 시스템을 도입해 일부 프로젝트에 ‘패스트트랙’을 제공하지만, 나머지 자본이 해외로 유출될 위험은 여전하다”라며 “결국 모든 사업 환경이 ‘승인이 예외가 아닌 규칙인 시장’으로 진화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상공회의소는 국내 20만 개 이상의 기업을 대변하는 최대 민간 경제단체다.
향후 일정과 전망
정부는 향후 수주 내에 MPO 관할 1차 국가 건설 프로젝트 목록을 공개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LNG 수출 터미널, 대륙횡단 수소 파이프라인, 대서양 해상풍력 단지 등이 우선 후보로 거론된다(정부 공식 확인은 아직 없음).
One Project, One Review 제도는 ‘단일 창구(Single Window)’ 방식으로 환경·원주민·경제성 평가를 통합한다. 복수 기관 심사를 병렬→단일화해 승인 기간을 줄인다는 개념으로, 한국의 ‘인·허가 통합 심사센터’와 유사하다.
기자 해설
이번 조치는 초저탄소 전환 및 공급망 재편이라는 글로벌 추세 속에서 캐나다가 ‘인프라 선점 효과’를 노린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다만 원주민 협약·환경규제·노동시장 제약이라는 ‘3대 난제’가 여전히 건재해, 실제 착공률과 자본 집행 속도가 총리실 로드맵을 충족할 수 있을지 관건이다. 탄소국경조정(CBAM) 도입이 임박한 EU·미국 시장으로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MPO가 약속한 2년 내 승인 타임라인 준수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최근 에너지 안보 우려로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EU 넷제로 산업법 등 각국이 유사한 프로젝트 패스트트랙 제도를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경쟁에서 MPO가 캐나다만의 차별화된 ‘투자 친화 생태계’를 구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MPO 출범은 캐나다 경제가 ‘지속 가능·복원력 경제’로 전환하는 분기점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그러나 향후 성과는 자원개발과 환경·원주민 권리 간 균형, 신속성·투명성·협업 거버넌스라는 ‘3중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