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Warren Buffett)이 남긴 “다른 이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다른 이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러워하라”는 조언은 오늘날에도 시장 투자자들에게 널리 회자된다. 이 격언은 시장 심리와 가격 모멘텀을 동시에 점검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화학‧특수소재 기업 카봇(Cabot Corp., 종목코드: CBT) 주가가 장중 68.66달러까지 하락하며 상대강도지수(RSI)가 29.4를 기록했다. RSI가 30 아래로 내려가면 일반적으로 ‘과매도(oversold)’ 상태로 간주된다. 이는 최근 매도세가 과도했음을 시사하며, 일부 매수 기회 탐색이 가능한 구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란?
RSI는 0~100의 범위에서 주가 상승 대비 하락 모멘텀을 정량화한 기술적 지표다. 통상 70 이상이면 과매수, 30 이하이면 과매도로 분류한다. 본문에서 언급된 ‘29.4’ 수치는 카봇 주가가 단기적으로 강한 매도 압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 카봇의 구체적 지표*
− 장중 최저치: 68.66달러
− 52주 최저치: 66.50달러
− 52주 최고치: 117.46달러
− 마감가(보도 시점): 69.08달러
같은 날 S&P 500 ETF(SPY)의 RSI는 66.0을 기록, 지수 전체가 과매수와 과매도 중간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반영했다.

위 차트에서 확인되듯 카봇 주가는 올 한 해 66.50~117.46달러의 넓은 박스권을 형성했다. 52주 저점에 가까운 현재 주가 수준과 RSI 30 이하 진입은 기술적 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지속적인 추세 전환 여부는 거래량, 업황, 실적 가이던스 등 추가 변수를 종합적으로 살펴야 판단할 수 있다.
“지표 하나만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서는 안 되며, 펀더멘털·거시 환경 등을 함께 분석해야 한다.”
참고: 왜 RSI를 보는가?
− 단기 과열·침체 탐지: 상대적으로 빠르게 시장 심리를 반영한다.
− 매수·매도 타이밍: 지표 극단값(30, 70선)을 근거로 매매 전략 수립 가능.
− 다른 지표와의 결합: 이동평균선·거래량지표와 함께 해석 시 정확도 제고.
카봇은 카본 블랙‧첨가제 등 특수화학 소재를 전 세계 산업계에 공급한다. 전방 수요(자동차‧전자‧건설) 변동에 민감하므로, 경기 사이클에 따라 주가 변동폭이 큰 편이다. 최근 글로벌 긴축 국면 및 원가 부담 확대가 주가 약세를 유발해 왔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편 나스닥닷컴은 같은 기사에서 카봇 이외 과매도 상태로 진입한 9개 종목을 추가 제시했다.※ 구체 목록은 원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법적 고지(Disclaimer)
기사 말미에는 “본 기사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순전히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의 공식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덧붙었다. 이는 독자가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반드시 자신의 판단과 추가 조사를 병행해야 함을 상기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