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Now(NYSE: NOW)에 대한 최신 13F 자료 점검 결과가 공개됐다. 투자 데이터 플랫폼인 Holdings Channel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3월 31일 기준 보고기간을 대상으로 한 가장 최근 제출된 20건의 13F 가운데 10개 펀드가 NOW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헤지펀드 매니저들의 포지셔닝이 유사하게 수렴할 때는 종종 추가 점검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해당 동향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눈여겨볼 지표로 받아들여진다.
2025년 11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13F는 분기 말 기준 주식 롱 포지션을 공개하도록 요구되는 제도적 보고서로, 단일 펀드의 전술을 온전히 드러내지는 않는다. 숏 포지션은 공시 의무가 없어, 예컨대 어떤 펀드가 콜 옵션을 매도(숏)해 하락 베팅을 하면서도 동시에 일정 물량의 현물을 매수(롱)해 포지션을 헤지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13F에는 롱 주식만 포착되므로 외관상 ‘강세’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는 포지션의 절반만 보여주는 셈이다.
핵심 유의점: 13F는 롱 보유만 반영하고, 숏 또는 옵션은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별 제출서류만으로 펀드의 총체적 방향성을 단정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동일 기간의 복수 13F를 집합적으로 비교하면 의미 있는 시그널이 도출될 수 있다. 이번 최신 배치에서 NOW 보유 변동은 다음과 같다.

Cullen Frost Bankers Inc. — Existing -1,402주, -$18,398(천 달러)
Parcion Private Wealth LLC — NEW +405주, +$322(천 달러)
DecisionPoint Financial LLC — NEW +2주, +$2(천 달러)
Segall Bryant & Hamill LLC — Existing -5,453주, -$20,417(천 달러)
DDD Partners LLC — Existing -37주, -$168(천 달러)
Tectonic Advisors LLC — Existing -366주, -$550(천 달러)
Kornitzer Capital Management Inc. KS — Existing -833주, -$1,849(천 달러)
Concord Asset Management LLC VA — Existing +16주, -$348(천 달러)
Larson Financial Group LLC — Existing +305주, +$127(천 달러)
BlackRock Inc. — Existing +600,159주, -$4,286,769(천 달러)
Aggregate Change — +592,796주, -$4,328,048(천 달러)
요약하면, 2024년 12월 31일에서 2025년 3월 31일로의 변화를 기준으로 위 표에 열거된 10개 펀드 중 기존 보유를 늘린 곳은 3개, 줄인 곳은 5개, 새로 편입한 곳은 2개로 집계됐다. 특히 BlackRock Inc.가 +60만 주 이상을 추가 매수했음에도, 보고서상 시장가치 변화는 -42억 8,676만 9,000달러(천 달러 단위 기준)로 표시돼 있다. 이는 단순 수량 변화뿐 아니라 분기 중 가격 변동이 동시에 반영되기 때문으로, 주가 조정이 가치 변화를 크게 압도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개별 배치를 넘어, 총 2,991개 제출서류를 포괄적으로 점검해 같은 기간 NOW를 보유한 모든 펀드의 합산 보유주식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323,433주가 순감소해 총 보유가 13,727,929주에서 13,404,496주로 줄었다. 이는 약 -2.36%의 감소율에 해당한다.

2025년 3월 31일 기준 NOW 보유 상위 3개 기관은 다음과 같다.
1) Bank of New York Mellon Corp — 1,622,430주
2) Brown Advisory Inc. — 1,277,277주
3) Envestnet Asset Management Inc. — 563,053주
주 4~10위 목록은 원문에서 별도 항목으로 제시됐다.
분석과 시사점
– 이번 최신 20개 13F 배치에서 NOW를 보유한 펀드는 10개로, 소재·성격이 다른 매니저들 간에도 일정 수준의 공통 분모가 확인된다. 다만 감축(5개) 대비 확대(3개)가 열세이며, 신규 편입은 2개로 제한적이다.
– 전 펀드(2,991개) 기준 합산 보유가 -2.36% 줄었다는 점은 분기 말까지는 보수적 변동이 우세했음을 시사한다. 이는 거시 환경, 대형 기술주의 밸류에이션 재조정, 혹은 업종 간 상대강도 변화 등 다양한 요인과 맞물려 해석될 수 있다.
– 개별 펀드의 시장가치 변화는 보유주식 수의 변화와 해당 기간 가격 변동의 합성 결과다. 예컨대 BlackRock처럼 물량이 큰 폭으로 늘었는데도 가치 변화가 음(-)의 대규모 수치로 나타나는 사례는, 분기 중 주가 흐름이 단기적으로 부담스러웠음을 반영할 수 있다.
– 이 같은 집합적 13F 분석은 개별 펀드의 롱 전용 데이터 한계를 보완하고, 기간 간 추세 비교를 통해 투자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참고가 된다. 다만 숏·옵션 전술이 공시되지 않는다는 구조적 한계는 여전히 감안해야 한다.
용어 설명
– 13F 보고서: 미국 SEC가 일정 규모 이상의 기관투자가에게 분기 말 기준 보유 주식(롱)을 공시하도록 요구하는 보고서다. 숏 포지션이나 대부분의 파생상품 포지션은 포함되지 않는다.
– 롱/숏: 롱은 매수 후 상승 이익을 기대하는 포지션, 숏은 차입·매도 후 하락 이익을 기대하는 포지션을 말한다. 기사에서 예로 든 콜 옵션 숏은 주가 하락 또는 정체에 베팅하는 구조로, 같은 시점 일부 현물을 보유해 운용상 균형을 맞출 수 있다.
– 보고기간 비교: 본문은 2024년 12월 31일과 2025년 3월 31일의 연속 분기를 대비해 보유주식 합계의 증감을 추적했다.
취재 메모
– 본 분석은 Holdings Channel이 취합한 가장 최근 13F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하며, 개별 매니저의 전체 포지션(숏·옵션 포함)을 대변하지 않는다.
– 13F는 분기 스냅샷이므로, 실시간 변동이나 분기 종료 후의 추가 조정은 반영되지 않는다.
– ServiceNow(NOW)에 대한 펀드 보유의 집계 변화는 시장에서의 기관 수요 온도를 가늠하게 해주며, 향후 실적·가이던스·거시 변수와의 결합 분석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