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13F 공시를 통해 본 메드트로닉(Medtronic PLC, 티커: MDT) 보유 현황과 변화를 점검한 결과, 최신 분기 자료에서 의미 있는 수치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미국 SEC에 제출된 13F 공시는 분기 말 기준 운용사의 주식 롱(매수·보유) 포지션을 공개하는 자료다. 이번 검토에서는 2025년 3월 31일 기준 보고기간에 해당하는 가장 최근 제출된 27건을 추려 확인했으며, 그 중 14개 펀드가 MDT를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헤지펀드 매니저들의 생각이 비슷해지는 신호가 관찰될 때는, 일반적으로 종목에 대한 세부 점검이 유용하다는 평가다.
2025년 11월 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개별 13F 공시는 포지션의 절반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을 먼저 유념해야 한다. 13F는 법적으로 롱 포지션만 공개하면 되며, 숏(매도) 포지션이나 옵션 등 파생상품의 순노출은 드러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콜옵션을 공매도(숏)해 하방 베팅을 하면서, 동시에 현물을 일부 보유해 헤지·트레이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현물 롱만 13F에 포착되면 외형상으로는 낙관적(불리시)으로 보이지만, 실제 총합 포지션은 중립 혹은 약세일 수 있다. 즉, 13F만으로 펀드의 진짜 방향성을 단정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보고기간을 여러 운용사 그룹 단위로 비교하면 유의미한 단서가 드러날 때가 있다. 이 관점에서 최신 제출 27건을 대상으로 MDT 보유 변동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래 표기는 각 운용사의 보유 상태(신규/기존), 주식수 변화, 그리고 시장가치 변화를 요약한 것이며, 가치 변동은 기사 원문 표기에 따라 (단위: 천 달러)로 제시된다.
펀드별 MDT 보유 변동(03/31/2025 기준, 최신 제출 27건 묶음)
Fund | 보유상태 | 주식수 변화 | 시장가치 변화(천 달러)
Poinciana Advisors Group LLC | 기존 보유 | -13주 | +$42
Peddock Capital Advisors LLC | 기존 보유 | +141주 | +$38
Nisa Investment Advisors LLC | 기존 보유 | -123,338주 | -$5,633
Moloney Securities Asset Management LLC | 기존 보유 | +9,704주 | +$1,215
Banque Pictet & Cie SA | 기존 보유 | -2,656주 | +$544
LBP AM SA | 기존 보유 | -195,854주 | -$13,915
Axxcess Wealth Management LLC | 기존 보유 | -3,859주 | -$189
Rehmann Capital Advisory Group | 기존 보유 | -2,612주 | -$85
Lakeside Advisors Inc. | 기존 보유 | +8주 | +$134
Slagle Financial LLC | 기존 보유 | +365주 | +$364
Chemung Canal Trust Co. | 기존 보유 | +14,468주 | +$1,633
Cornerstone Planning Group LLC | 기존 보유 | +456주 | +$39
Aspen Wealth Strategies LLC | 기존 보유 | -47주 | +$24
Dogwood Wealth Management LLC | 신규 | +111주 | +$10
해당 묶음 내 총합 변화: -303,126주 | -$15,779천
이 27개 최신 제출에 한정하면, 6개 펀드가 MDT 보유를 늘리고, 7개 펀드는 감축했으며, 1개 펀드가 신규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같은 묶음에 포함된 Alpha Financial Partners LLC는 2025년 3월 31일 기준으로 MDT 보통주를 전량 매도한 상태로 확인됐다.

이번 27개 묶음을 넘어, 전체 표본 2,575개 운용사가 같은 보고기간(03/31/2025)에 보유한 MDT 주식수를 총합해, 직전 분기(12/31/2024)와 비교했다. 그 결과, 총 보유 주식수는 74,538,032주에서 78,387,574주로 증가했으며, 순증 3,849,542주, 증가율 약 5.16%로 집계됐다. 즉, 광범위한 펀드 그룹 차원에서는 MDT가 분기 사이에 순매수된 셈이다. 이는 소수 샘플(최신 27건)에서 관찰된 -303,126주의 순감과는 방향이 상이하며, 표본 범위를 넓힐수록 흐름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25년 3월 31일 기준 MDT 상위 보유 상위 3개 기관은 다음과 같다.
1) Bank of New York Mellon Corp: 20,680,301주
2) Envestnet Asset Management Inc.: 5,269,066주
3) Sumitomo Mitsui Trust Group Inc.: 3,051,297주
상위 4~10위에 대한 상세 순위는 관련 자료에 제시되어 있다. 본지는 헤지펀드 매니저들의 최신 13F 제출 추세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개별 공시의 롱 편향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기간별 운용사 그룹 비교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집계는 때로 추가 리서치가 필요한 종목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투자자에게 실무적 단서를 줄 수 있다. 이번 사례의 메드트로닉(MDT)도 그 가운데 하나다.

용어 설명과 해석 가이드
13F 보고서는 미국 내 일정 규모 이상 운용사(대체로 1억 달러 이상 자산 운용)의 분기 말 기준 주식 보유 현황을 공개하는 규정에 따라 제출되는 문서다. 핵심은 롱 포지션만 공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파생상품을 통한 숏 노출이나 롱·숏을 결합한 시장 중립 전략의 실질 노출은 이 자료에서 직접 파악하기 어렵다. 기사 본문에 제시된 예시처럼, 콜옵션을 숏으로 보유하면서 일부 현물 주식을 들고 있으면, 13F에는 현물 롱만 나타나 오해가 생길 소지가 있다.
롱(Long)은 주가 상승에 베팅하는 매수·보유 포지션을 뜻하며, 숏(Short)은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차입·매도 포지션을 의미한다. 옵션까지 결합하면, 표면적 롱 보유가 반드시 상승 시각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개별 13F만으로 매니저의 방향성을 단정하기보다는, 본 기사처럼 여러 운용사의 총합 변화(집단 데이터)를 함께 보는 것이 더 설명력이 높을 수 있다.
데이터가 시사하는 바
최신 27건 묶음에서는 MDT 보유가 순감(-303,126주)된 반면, 같은 기간 전체 2,575개 운용사의 총합은 순증(+3,849,542주, 약 5.16%)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본 크기와 구성이 결과 해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위 3개 기관인 Bank of New York Mellon, Envestnet, Sumitomo Mitsui Trust Group이 보유량을 큰 폭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도, 대형 기관의 집중도가 전체 통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13F의 구조적 한계(숏·파생 미공개)상, 본 수치는 현물 롱 보유에 관한 스냅샷이라는 점을 전제로 해석해야 한다.
실무적 체크포인트투자 아이디어 도출 관점
첫째, 기간 비교가 핵심이다. 동일 운용사 집단의 분기 간 변화를 추적하면 신호 대 잡음비가 개선된다. 둘째, 집단 합계를 활용하라. 개별 공시의 롱 편향을 상쇄하기 위해 다수 운용사 총합을 비교하면 경향성을 더 선명히 볼 수 있다. 셋째, 대형 보유자의 동향은 지표로 유용하다. 상위 3개사의 보유량처럼 압도적인 비중을 가진 주체의 변화는 총합 결과를 좌우할 수 있다. 넷째, 숏 노출은 외부에서 직접 확인하기 어렵다. 13F로 포착되지 않는 숏·옵션 노출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고 해석해야 한다.
“개별 13F는 때로 오해를 낳을 수 있으나, 보고기간 간 운용사 그룹 합계는 보다 설명력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끝으로, 본 기사 말미의 고지처럼,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투자 판단은 독자 책임이며, 13F는 어디까지나 참고 지표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