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정보 플랫폼 홀딩스채널(Holdings Channel)의 집계에 따르면, 06/30/2024 기준 보고분(최근 147건의 13F 서류) 가운데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티커: QQQ)를 보유한 헤지펀드는 총 39곳으로 확인됐다. 여러 매니저가 동일 종목에 주목할 때 나타나는 ‘군집 행동’을 분석하면 시장 심리를 더 깊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된다.
2025년 8월 1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분석은 2024년 3월 말과 6월 말 두 보고 기간을 비교해 QQQ에 대한 헤지펀드들의 매매 패턴을 추적했다. 보고서상으로는 장기(롱) 포지션만 공개되기 때문에 매니저의 실제 투자 의도를 단순 해석하면 오해가 생길 수 있지만, 여러 펀드의 데이터를 집단적으로 비교하면 흐름을 읽기 쉽다는 설명이다.
13F 보고서란? 13F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분기별 공시 문서로, 운용자산 1억 달러 이상※의 기관투자가가 보유한 상장 주식·옵션·ETF 등 ‘롱 포지션’을 공개하도록 한 제도다. ‘쇼트 포지션(공매도)’은 기재 의무가 없어, 실제로는 주식을 공매도하면서 헷지 차원에서 일부를 매수한 경우라도 보고서에는 매수분만 노출된다. 따라서 13F는 부분 정보지만, 일정 기간 여러 펀드를 종단 비교하면 기관 자금의 순매수·순매도 추세를 가늠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① 개별 펀드별 QQQ 보유 변동
이번 분기(03/31/2024 → 06/30/2024) 동안 13곳이 QQQ 보유량을 늘렸고, 16곳이 줄였으며, 5곳이 신규 편입했다. 대표적 증감 사례는 다음과 같다.
증가 펀드: Valiant Capital Management L.P.(+41,000주), Quantinno Capital Management LP(+5,290주), Cartenna Capital LP(신규 +75,000주) 등.
감소 펀드: LMR Partners LLP(-2,965,227주), Centiva Capital LP(-373,588주), Bank Julius Baer & Co. Ltd Zurich(-40,141주) 등.
또한 Zacks Investment Management, Weiss Asset Management LP, Nishkama Capital LLC 등 7개 운용사는 QQQ 보유분을 전량 매도하며 포지션을 종료했다.
② 전체 헤지펀드 집계 결과
홀딩스채널이 조사한 총 5,241개 펀드 가운데 QQQ를 보유한 펀드들의 합산 주식 수는 126,017,461주(03/31)에서 122,831,290주(06/30)로 3,186,171주 감소해, -2.53%의 순감소율을 기록했다.
③ 2024년 6월 30일 기준 QQQ 최대 보유 상위 3대 펀드
1. LPL Financial LLC – 8,799,185주
2. Goldman Sachs Group Inc. – 6,678,722주
3. JPMorgan Chase & Co. – 5,613,279주
시장 의미 및 전망
QQQ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로, 빅테크 비중이 높아 미국 성장주 심리를 가늠하는 바로미터로 통한다. 6월 말 기준 헤지펀드의 순매도 전환(-2.53%)은 고평가 논란, 금리 변수 등에 따른 차익실현 수요로 해석된다. 반면 Valiant, Blackstone 등 일부 대형 펀드는 비중을 크게 늘려 매크로 불확실성 속 기술주 장기 랠리에 베팅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 시각에서는 “13F 데이터는 쇼트 포지션이 제외돼 있어 과도한 해석은 금물”이라는 경고와 함께, “다만 다수 펀드의 합계를 살피면 분산된 기관 자금의 리스크 허용 범위를 엿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특히 LMR Partners LLP처럼 수백만 주 단위 매도 사례는 시장 변동성 확대의 잠재적 신호로 주목받는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QQQ(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나스닥100 지수를 1:1로 추종하는 대표 ETF.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대형 기술주 비중이 높다.
• 13F 보고서: 미국 기관투자가의 분기별 롱 포지션 공개 의무제도. 운용 규모 1억 달러 이상 기관은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선물·옵션·쇼트 포지션은 제외된다.
• 쇼트 포지션(Short Position): 주식을 빌려 판매한 뒤 이후 가격 하락 시 싼값에 되사서 차익을 내는 투자 전략. 13F에는 의무 공시 대상이 아니다.
• 헤지펀드(Hedge Fund): 다양한 파생상품·공매도·레버리지 전략을 활용해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 13F 공시를 통해 부분적으로 투자 내역을 추적할 수 있다.
홀딩스채널은 “향후 분기별 13F 데이터 흐름을 계속 추적해, QQQ와 같은 주요 ETF를 둘러싼 기관 자금 이동을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자는 롱·쇼트 양면 포지션의 존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 리서치를 통해 위험관리 전략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