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수익률 상승 속 미 증시 보합 마감

S&P 500 지수(SPX)는 0.01% 하락,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08% 하락, 나스닥 100(IUXX)은 0.01% 상승하며 8월 18일(현지 시각) 월요일 뉴욕 증시는 거의 변동 없이 혼조로 마감했다. 9월물 E-미니 S&P 선물(ESU25)은 0.03% 내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0.02% 떨어졌다.

2025년 8월 1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주가가 지지부진했던 가장 큰 배경은 미 국채 수익률 급등이다. 10년 만기 미 국채(T-note) 금리는 장중 2주 만의 최고치인 4.35%까지 상승한 뒤 4.34%(+2bp)로 장을 마쳤다.

지난주 발표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을 웃돈 이후, 시장의 조기 연준(미국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채권 매도세가 가팔랐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도 부담을 받았다.

지정학‧통상 변수도 부담

같은 날 워싱턴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유럽 정상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잠정 조건’ 협의가 이뤄질지 주목됐으나, 관세·유가 등 거시경제 변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투자심리는 위축됐다.

소비자 심리가 트럼프 행정부의 초기 관세 조치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우려도 컸다. 월마트·타깃·홈디포 등 대형 소매업체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보였다.

미국 8월 전국주택건설업협회(NAHB) 주택시장지수는 32로 전월 대비 1포인트 떨어졌다(시장 예상치 34 상승). 주택 경기 둔화 신호 역시 주가에 부정적이었다.


이번 주 핵심 이벤트 일정

시장 참가자들은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 진전 여부와 새로운 관세 발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19일(화) 공개되는 7월 주택착공은 전월 대비 1.6% 감소한 130만 호, 건축허가는 0.4% 감소한 138만 8천 호가 예상된다. 20일(수)에는 7월 29~30일 FOMC 의사록이, 21일(목)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22만5천 건), 8월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지수(6.7), 8월 S&P 제조업 PMI(49.8), 7월 기존주택판매(392만 호)가 순차로 발표된다. 22일(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와이오밍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경제전망 연설을 진행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다음 주와 그다음 주에 철강, 반도체(칩) 등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에 최대 100% 관세를 예고하면서,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기업은 면제하겠다고 했다. 반도체 관세율이 200% 혹은 300%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최근 관세 동향을 살펴보면, 12일 중국과의 관세 유예 조치를 90일 연장했고, 6일에는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상향했다. 5일에는 의약품 관세 인상 계획도 밝힌 상태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 같은 방안이 모두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2%로 치솟아 2024년(2.3%) 대비 6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추산했다.

연준 정책 기대치 변화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4%로, 10월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51%로 반영하고 있다. 이는 15일 마감 기준 각각 93%, 58%에서 낮아진 수치다.

2분기 실적 시즌 현황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 500 기업들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로, 사전 전망치(2.8%)와 지난해 이후 최고치(4년 만에 최대)를 크게 상회했다. 보고를 마친 92% 기업 가운데 82%가 시장 전망을 웃돌았다.

글로벌 증시 동향

유럽 유로 Stoxx 50은 0.26% 하락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의 최고가로 0.85% 올랐고, 일본 닛케이 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 속 0.77% 상승했다.

채권 시장

9월물 10년 T-노트 선물(ZNU25)은 2주 최저치로 2.5틱 하락했고, 10년물 금리는 4.336%(+2.0bp)로 상승 마감했다. 지난주 발표된 7월 CPI·PPI 호조가 연준의 9월 인하 가능성을 낮춘 데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서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는 점이 안전자산 선호를 자극했다.

유럽 국채의 경우 10년 만기 독일 국채 금리는 2.763%(-2.5bp), 10년 만기 영국 길트 금리는 4.748%(장중 고점)·4.738%(+4.2bp)로 엇갈렸다. 시장은 9월 11일 유럽중앙은행(ECB)의 25bp 인하 가능성을 5% 수준으로 본다.

◎ 용어 풀이*

E-미니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S&P·나스닥 지수 미니 계약을 뜻한다. 최소 증거금이 표준 계약보다 낮아 기관·개인투자자 모두 활용한다. FOMC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 ‘bp’는 베이시스포인트(1bp=0.01%p)다.

종목별 변동

천연가스 생산주는 Roth Capital Partners가 ‘공급 과잉’ 이유로 투자 의견을 하향하면서 급락했다. EQT(-4% 이상), Comstock Resources(-6% 이상), Antero Resources(-5% 이상), Coterra Energy·Range Resources(-3% 이상), Expand Energy(-2% 이상) 등이 일제히 밀렸다.

인텔은 블룸버그 보도로 미 정부가 지분 10%를 취득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3% 넘게 하락, 나스닥 100에서 낙폭 1위를 기록했다.

메타플랫폼스(META)는 6개월 새 네 번째 AI 조직 재편 추진설이 제기돼 2% 이상 떨어졌다.

모건스탠리가 투자의견을 ‘비중축소(Underweight)’로 낮춘 Northern Oil & Gas는 2% 넘게 하락했다.

Walleye Capital이 숏포지션(543만 주, 0.51%)을 공시한 Paramount Skydance도 1% 이상 밀렸다.

반면, 사모펀드 토마 브라보의 인수협상설이 나온 데이포스(DAY)는 25% 폭등해 S&P 5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씨티그룹이 목표가 400달러와 함께 ‘매수’로 커버리지를 시작한 듀오링고(DUOL)는 12%대 급등했다.

TD 코웬이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한 EPAM 시스템즈는 4% 넘게 상승했다.

UBS가 투자의견을 ‘매수’로 올린 CVS헬스는 2% 이상 올랐다.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2분기 유나이티드헬스그룹(UNH) 지분을 매입한 사실이 13F 보고서에서 확인되며, 주가는 지난 금요일 11% 급등세에 이어 추가 1% 상승했다.

실적 발표 예정(8월 19일)

Amer Sports, 홈디포(HD), 잭 헨리 & 어소시에이츠(JKHY), 제임스 하디 인더스트리즈(JHX),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 메드트로닉(MDT), 톨 브라더스(TOL), 바이킹 홀딩스(VIK)가 이날 실적을 공개한다.

※ 본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필진은 언급된 종목에 대한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문서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